-
-
호기심 가득한 어린이를 위한 이토록 굉장한 세계
에드 용 지음, 레베카 밀스 그림, 양병찬 옮김, 앤마리 앤더슨 각색 / 어크로스주니어 / 2025년 10월
평점 :
#협찬 #서평
>>
호기심이 많은 아이를 키우다 보면 하루에도 수십 번씩 “엄마, 이건 뭐예요?”, “왜 그래요?” 같은 질문이 쏟아진다. 그럴 때마다 대답을 찾아주려 애쓰지만, 세상에는 엄마가 대답할 수 없는 부분이 너무 많다.
그래서 이 책, 에드 용의 <<이토록 굉장한 세계>> 어린이판을 만났을 때 굉장히 흥분했다.
이 책은 빌 게이츠가 극찬하고, 버락 오바마가 추천한 원작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각색한 과학 도서다.
‘동물은 인간과 어떻게 다르게 세상을 느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해, 우리가 알지 못했던 신비한 감각의 세계로 안내한다.
책을 펼치면 동물들이 가진 특별한 감각이 차례로 등장한다.
냄새와 맛, 빛, 색깔, 통증, 열, 촉감과 흐름, 표면 진동, 소리, 메아리, 전기장과 자기장, 감각의 통합으로 나누어 다양한 동물의 감각 기관을 소개한다.
상어와 오리너구리는 전기장을, 울새와 바다거북은 자기장을 감지한다. 코끼리와 고래는 인간이 들을 수 없는 낮은 소리를 듣고, 벌과 새는 우리가 보지 못하는 자외선을 본다.
책을 읽다 보면, 인간의 감각이 얼마나 한정적인지 그리고 세상엔 얼마나 다양한 방식의 ‘느낌’이 존재하는지 새삼 깨닫게 된다.
실제 사진처럼 생생한 삽화 덕분에 낯선 동물들의 감각 세계가 머릿속에 쉽게 그려졌다. 아이뿐 아니라 과학책을 어려워하는 어른에게도 흥미롭게 다가올 만큼 친절한 구성이다.
“모든 동물은 자신이 사는 곳에 알맞은 감각을 가지고 있다”는 문장은 오랫동안 마음에 남았다. 우리는 종종 인간의 기준으로 동물을 판단하고, 우리가 불편하면 동물도 불편할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생각의 틀을 깨뜨렸다. ‘인간 중심적인 시각’을 내려놓고 자연 전체를 바라보는 시야가 필요함을 일깨운다.
동물을 이해한다는 것은 단지 생태를 배우는 일이 아니라, 나와 다른 존재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일이라는 걸 깨달았다.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첫걸음이 아닐까!!!
"엄마, 동물들은 우리랑 다르게 느끼고 본다는 게 신기해요."
아이의 이 한마디가 이 책의 가치를 가늠하게 한다. 이 아이들이 새롭게 볼 세상은 지금보단 나은 미래가 되길 바라며, 서평을 마무리한다.
<<호기심 가득한 어린이를 위한 이토록 굉장한 세계>>는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넓혀주는 따뜻한 안내서이니, 궁금한 게 많은 어린이에게 적극 추천한다.
>>
>밑줄_p51
얼룩말은 왜 줄무늬를 가지고 있을까? 카로는 답을 제시한다. 흡혈파리, 즉 피를 빨아 먹는 파리를 막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아프리카에서 이 해충들은 말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옮기며, 특히 얼룩말은 털이 짧아 흡혈파리의 희생양이 될 위험이 높다. 그런데 줄무늬는 알 수 없는 이유로 파리를 혼란스럽게 만들어 착륙 지점을 번번이 놓치게 한다.
그렇다면 인간은 어떻게 그렇게 오랫동안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있었을까? 그건 우리가 얼룩말의 줄무늬를 잘못된 시각, 즉 우리의 시각으로 바라보았기 때문이다.
>밑줄_p119,120
남극의 추위를 이겨 내는 황제 펭귄이나 뜨거운 모래 위를 걷는 낙타를 보면, 당신은 그들이 고통을 겪고 있다고 생각할 거예요.
우리는 인간의 감각을 그들의 감각에 덮어씌우고 있는 거예요! 우리가 불편하니까 그들도 당연히 불편할 거라고 가정하는 거죠. 하지만 사실, 모든 동물은 자신이 사는 곳에 알맞은 감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이 서평은 어크로스주니어(@across_jr) 서평단 자격으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호기심가득한어린이를위한이토록굉장한세계
#에드용 #어크로스주니어
#과학상식 #동물의감각세계 #전기장 #자기장
#어린이과학도서 #초등학생추천도서
#신간도서 #책추천 #어린이과학도서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