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가 남긴 365일
유이하 지음, 김지연 옮김 / 모모 / 2025년 9월
평점 :
#협찬 #서평
>>
전작 <<나와 너의 365일>>에 이어 시한부라는 설정은 유지한 채, 사랑과 상실의 감정을 더욱 깊고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을 만났다.
태어날 때부터 무채색으로 세상을 보던 유고에게 세상의 아름다움을 알려주고 싶었던 가에데.
두 아이의 사랑이야기는 풋풋한 첫사랑에 가까웠다.
"아, 이 마음이 사랑이었구나." 라고 깨닫게 되는 마음이었다.
이 책을 덮고 가만히 생각해 봤다.
"나와 너의 색은 어떤 색일까?"
유고와 가에데가 우리의 색이라고 힘주어 말할만한 빛깔이 있었을까? 설레고 풋풋했던 그때의 감정들을 떠올려보는 시간이었다.
주인공 유고는 태어날 때부터 색을 인식하지 못했다. 세상은 늘 회색빛이었고, 감정 역시 뚜렷하지 않았다. 그런 그에겐 소꼽 친구인 가에데가 유일한 친구였다.
그녀는 색이 가진 아름다움을 알려주려 애썼지만, 유고는 그저 무심하게 받아들였다.
그러던 어느 날, 가에데가 세상을 떠나고, 유고 역시 무채병이라는 시한부 선고를 받는다. 그녀의 죽음도 특별히 슬퍼하지 않았던 유고는 자신의 죽음도 무덤덤하게 받아들였다.
유품 중에 가에데가 남긴 일기가 있었고, 유고는 가에데가 바라던 '건강해지면 하고 싶은 일 리스트'를 하나씩 하기 시작하는데...
가에데가 하라는대로 했던 예전처럼, 노트에 적힌대로 살던 유고가 서서히 변하는 모습을 보는 게 좋았다.
무의미하게 살던 그가 방과 후 햄버거를 먹거나, 친구들과 크리스마스를 보내는 일 등 평범한 하루가 쌓일수록 유고의 세상은 조금씩 빛을 되찾는다. 물론 그 하루들은 가에데가 적은 리스트를 따라 한 것이지만, 그런 평범한 하루가 바로 살아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쇼파에서 과자를 펼쳐놓고 먹는 것도 살아있으니 가능한 일이었다.
유고가 가에데의 죽음 이후 뒤늦게 자신의 감정을 깨달아가는 순간.
가까운 이를 잃고도 상실감을 느끼지 못하던 무채색의 청춘이, 하루하루 그리움으로 채워진 365일을 살아가며 색을 되찾가는 순간.
마지막 장면에서 세상이 온통 색으로 물드는 순간.
독자들도 서서히 커져가는 그의 감정을 오감으로 느끼며 몰입하게 된다.
그가 얼마나 큰 사랑을 했는지, 그리고 그 사랑이 얼마나 늦게 찾아왔는지 함께 느끼고 깨닫게 된다.
상실을 다루는 이야기 속에서 사랑한 순간을 떠올리며, 다시 살아가야 하는 이유를 찾아주는 이야기.
눈부신 빛으로 세상이 가득 차는 마지막 장면은 아름다움과 슬픔이 동시에 밀려왔다.
'사랑은 이렇게 한 사람의 세상을 완전히 바꿔놓는 힘이 있구나.' 하는 생각이 강하게 남는다.
<<네가 남긴 365일>>은 단순한 시한부 로맨스를 넘어, 누군가를 잃고도 여전히 살아가야 하는 우리 모두에게 건네는 위로 같은 소설이니, 가을빛과 맞닿은 이 이야기를 꼭 만나보시길 바란다.
>>
>밑줄_p27,28
"내가, 무채병이래?" (...)
이 세상에는 무채병이라는 질병이 존재한다.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았고 원인도 불분명하다. 다만 발병 1년 전후로 환자가 죽음에 이른다는 것만은 확실하다.
>밑줄_p48
하고 싶은 일은 하나도 없다. 미래도 꿈도 희망도 기대도 없다. 남은 1년 동안 마땅히 할 일도 없으니 그저 흐르는 시간에 몸을 맡겨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
그런데 지금 어차피 삶을 마감해야 한다면 죽기 전에 뭔가를 달성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아니라 먼저 죽은 그녀가 하고 싶어 한 것들을.
남은 시간은 365일.
>> 이 서평은 오팬하우스(@ofanhouse.official) 서평단 자격으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네가남긴365일 #유이하 #모모
#장편소설 #일본소설 #하이틴로맨스 #시한부
#상실 #사랑 #우정
#신간도서 #책추천 #로맨스소설추천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