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철학 365
최훈 지음 / 비에이블 / 202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철학을 두려워했던 시기에 철학을 떠올리면 자연히 따라오는 위화감이 존재했다. 무엇보다 철학이라는 학문이 현학적이고 현실과 동떨어져 존재한다는 생각이 우선되었고 철학이 난해하다는 두려움이 뒤따랐다. 이런 이유로 내 독서는 철학이라는 분야를 피하거나 외면하곤 했는데 나도 모르게 철학에 대한 호기심이 급격히 커지는 순간이 왔다. 역사, 문학, 사회 등 어떤 분야의 서적을 접하든 그 시대와 그 인물에 내재된 철학에 대한 언급을 같이 읽어야 했으며 철학을 이해하지 않고는 온전한 이해는 고사하고 표면적인 이해조차 어려움을 절감하게 됐다.
철학의 역사와 뛰어난 철학자들의 사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버트런드 러셀의 <서양 철학사>와 군나르 시르베크의 <서양 철학사>로 시작해 몇몇 유명하다는 철학자의 서적을 읽게 됐다. 철학서를 접하다보니 존재와 삶에 대한 이해를 얻고자하는 욕심이 생겨 이런저런 사유를 겸하게 됐다. 주관적인 사유의 결과물이 위대한 지성들의 것에 견줄 바 아니지만 적어도 내 삶을 이끌어 온 원동력에 대한 진지한 생각과 함께 앞으로 살아갈 인생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얻었다.
여느 학문과 마찬가지로 철학 또한 용어에 대한 개념정리가 매우 중요하다.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데다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가 쓰이는 경우도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 의미와는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도 많아 철학의 용어들에 친숙해질 필요가 있다.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철학365>는 철학에 대해 쉽게(부담없이) 다가서고 철학 용어들에 대한 거리감을 상쇄시켜주는 역활을 하며 이후 철학서를 읽는 데 도움이 되는 구성으로 짜여져 있다. 제목이 암시하듯 매일 1페이지씩 365일 동안 읽을 수 있도록 요일별로 구분하여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한 세트를 구성한다. 월욜일은 철학자의 말을, 화요일은 용어/개념을, 수요일은 철학자를, 목요일은 철학사를, 금요일은 삶과 철학을, 토요일은 생각법을, 그리고 일요일은 철학 TMI를 소개하고 있다. 분량은 말 그대로 1페이지를 넘지 않는 범위로 몇 분을 투자하면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철학이 담고 있는 사유를 같이하고자 한다면 1페이지 분량이 수 일이 지나도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다.
각각의 페이지는 장(chapter)번호, 주제, 주제와 연관된 인용문이나 이미지, 주제에 대한 설명, 그리고 주제와 관련된 에피소드 혹은 지식을 담고 있다. 한 페이지라는 제한된 공간에 이 많은 것을 어떻게 넣었을까 싶었는데 핵심을 요약해 설명하는 방식을 취해 한정된 지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독자의 입장에서 요점을 읽은 후 그에 대한 이해가 된다면 최선일 것이고 만약 이해가 부족하거나 더 알아보고자 하는 바가 있다면 해당 철학자나 사상을 좇아 확장된 독서를 진행하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철학365>에 동반된 '1페이지 철학 정리 노트'는 주 단위와 일 단위로 읽어 나간 것들을 체크하고 느낀 바를 정리할 수 있게 짜여져 있다. 저자의 의도를 짐작해 보면, 독자로 하여금 철학을 읽고 이해하는 데 있어 열정적 독서보다 끊기있고 근면한 독서를 권하는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숨에 읽어 완독한 뒤 덮어버리는 것 보다 꾸준히 철학이라는 학문을 접하고 철학적 사고를 유지해 지식과 삶을 풍요롭게 하길 기대하는 것이리라.
현재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철학365>의 중반을 읽고 리뷰를 작성하고 있는 나의 상태는 저자의 의도와 달리 너무 성급한 독서를 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누구나 그럴싸한 계획을 갖고 있듯' 나 또한 계획을 갖고 있다. 일단 앞으로 2-3일 이내로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철학365>를 완독하되 다시 읽을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는 챕터를 체크해 둘 것이다. 완독을 마친 후 체크한 부분을 다시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거나 부족하다고 여겨지면 해당 철학자의 사상을 따라가 볼 심산이고 이를 위해 '1페이지 철학 정리 노트'를 활용할 예정이다.
철학을 읽다보니 철학에 대한 관심도 없고 오히려 기피했던 시절조차 순간순간 철학적 사고로 살아가고 있었음을 깨닫게 됐다. 자신이 인지하지 못하는 순간에도(사유의 깊이에 차이가 있겠지만) 철학적 고민은 지속되고 있었다. 단순히 오늘 무엇을 했는가, 그것을 한 것은 옳은가, 그것이 내일의 나에게 어떤 의미가 될 것인가 등 인생의 매순간이 삶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고 어떤 선택을 함에 있어 중심이 되었던 가치관은 내 안에 담겨있는 철학적 사고로부터 비롯되었다. 역사를 보며 인류가 지난 자취를 되돌아보고 반면교사로 삼는 것처럼 철학은 개인의 인생을 돌아보고 나아가게 만드는 힘이 있다고 여긴다.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철학365>를 통해 모호했던 철학적 개념을 바로 알고 50여 명의 철학자와 그들의 사상을 되새겨보며 철학에 대한 친숙함을 키우고 싶다. 종국에는 이런 지식과 지혜를 바탕으로 나와 내 삶에 진지하게 접근하고 내면을 가다듬고 싶다.
철학이 어려운 학문이라는 사실은 철학자들의 사상에 대한 온전한 이해와 통찰을 시도했을 때의 문제이지 단지 철학 사상의 요점을 얻어 현실에 반영해보고 자신의 사고를 넓히는 것 정도는 누구나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물리학자들이 말하는 상대성이론이나 양자역학 등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지만 대략적인 개념을 잡고 '저렇기도 하구나'라고 짐작하듯 철학 또한 철학자들의 심연까지 다다르긴 힘들지만 대략적인 이해와 응용은 충분히 가능한 부분이라 생각한다.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철학365>에 정리된 내용은 나를 비롯한 독자들에게 더 깊은 지식을 얻는 좋은 밑거름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점차적으로 지식을 넓히고 거기서 한층 나아가 내면의 안정을 찾고 싶다. 진리가 무엇인지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나라는 사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