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거짓말 두 번째 이야기 인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2
박홍규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사회에서 큰 이슈를 불러일으키거나 베스트셀러가 된 책들은 (어떤 주제에 상관없이) 주로 서양이나 동아시아를 다룬 것들이다. 대한민국이 동아시아에 위치하니, 동아시아에 관심이 쓰이는건 인지상정이라 할 수 있고, 근현대사에서 세계를 재패한 것이 서양이니 서양의 역사와 문화가 큰 지배력을 가지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다. 반면, 인도나 이슬람은 우리에게 '낯선 어떤 곳'으로 인식되고 많은 역사서에 등장하는 이방인 정도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인문학의 거짓말>은 흔히 암흑시대로 일컬어지는 중세 시대가 실제로 인문학의 정체기 혹은 퇴행기였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동시대에 서양, 인도, 이슬람, 중국, 그리고 한국의 문화(사상, 문화, 예술)를 고찰함으로써 서유럽 중심으로 짜여진 역사관에 회의감을 표현한다.


서양 근대사에 등장한 제국주의는 유럽을 벗어나 전세계를 향했다. 새로운 대륙과 국가의 발견은 정복전쟁과 식민지화를 초래했고 피정복자의 찬란한 문화와 유산은 파괴되고 폄하되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인도, 중국, 이슬람, 한국 모두 그런 피해를 입었다.


중세시대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고 점점 더 다양해지는 듯하다. 서로마 제국의 멸망에서 동로마제국의 멸망까지, 서로마의 멸망부터 이베리아 반도에서 무어인을 쫓아내고 대항해시대가 열리는 시점까지, 서로마의 멸망에서 교황권의 쇠퇴가 급격히 이뤄진 시기까지 등등 관점에 따라 중세 시대는 다양하게 구분된다. 학자에 따라 중세의 시작점으로 언급된 서로마 제국의 멸망 시점에 대한 이견도 나오고 있다. 최근 중세시대의 정의와 의미를 재해석하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으며 문명의 암흑기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문명의 여명기로 여겨지는 추세인 듯하다. 


<인문학의 거짓말>의 저자 박홍규는 중세시대가 암흑시대라는 관점은 서양사에 국한된 편협한 시각으로 행해진 단조로운 구분이며, '세계사라는 지구의 영역'에서 같은 시기의 다른 문명을 고찰한다면 중세시대가 암흑시대라는 등식이 성립될 수 없음을 지적한다. 또한 각 대륙이나 국가마다 중세라 칭할 수 있는 시기도 달라지게 된다. 


서양 제국주의가 세계를 정복하고 자신들의 사상을 주입함으로써 잊혀져 간 문명들 또한 개성있는 훌륭한 문화를 이뤄냈고, 물질문명에 젖어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와 성찰을 등한시하는 현대사회를 정화하기 위해 이들 문화에 대한 재조명이 절실히 필요하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