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중섭 1 - 게와 아이들과 황소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3년 11월
평점 :
지금 덕수궁 안에 있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한국 ‘근현대회화 100선’을 전시하고 있다. 소설 <이중섭>을 읽기 전 이중섭이 그린 <소>작품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싶어서 전시장을 방문했다. 이중섭이 그린 붉은 바탕에 순수한 눈망울을 한 소의 모습은 조선인을 닮아있었다. 전시 장 안에서 김기창, 김환기, 천경자, 구본웅, 많은 한국 근현대 화가들의 작품을 만날 수 있었다.
이중섭 앞에 ‘천재’라는 수식이 붙었다. 이 ‘천재’라는 수식은 남보다 뛰어난 재주를 지닌 사람의 우월성을 지닌 긍정의 의미보다, 남과 달라서 힘겹게 살다가 간 부정의 의미로 다가왔다. 화가 이중섭의 삶이 그러했으니까. 또 천재라고 명명된 많은 예술가들은 비운의 삶을 살다가 세상을 떠났으니까.
최문희의 장편소설 <이중섭>에는 이런 천재적 예술가의 비극적인 삶을 잘 조명하고 있다. 민족명문학교 오산학교를 다니며, 민족의식을 싹틔운 이중섭은 일본여성을 사랑하면서 의식과 현실의 간극 사이에서 갈등한다. 자신의 예술의 세계와 현실 속의 자신의 모습은 모순이었기에. 게다가 부유한 집안의 막내아들로 성장하여 가장으로 책임을 지고, 경제적 활동을 하는 것을 몰라 호평을 받은 개인전을 하고도, 돈을 벌어드리지 못하고, 아내와 아들과 했던 약속을 이행하지 못한다. 결국 가족을 제대로 부양하지 못한 죄책감으로 인해, 정신을 놓고 만다. 예술가와 가장의 역할 사이에서 줄다리기는 그 어떤 것도 택하지 못하고, 피폐한 정신세계로 치닫게 만들어 결국 음식을 거부하다 죽음을 맞이하게 한다.
하지만 그가 그린 작품 소재는 소뿐 아니라, 아내 남덕과 태현, 태성 가족을 모티브로 한 그림도 작품 세계의 한 축이었다. 가족을 그리워하며 그림을 그린 그의 작품은 이중섭이 지향한 이상세계를 잘 담아내고 있는 듯 했다. 꼭 이중섭을 민족 화가라 한정지어 명명할 필요가 있을까 생각하게 됐다.
소설 안에서는 이중섭과 시인 구상과의 우정, 일본여자 남덕(마사코)와의 사랑, 실존한 인물인지, 소설가 최문희가 가상으로 만들어낸 인물인지 모를, 이중섭을 시긴한 허수와 관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졌다.
소설 <이중섭>의 이야기 구성은 굉장히 독특했다. 시간의 순차적으로 기술되지 않았다. 그렇다고, 과거와 현재가 교차되는 양식도 아니었다. 소설 처음엔 이중섭의 아내, 마사코의 현재 시점에서 과거 이중섭의 일화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줄 알았다. 하지만 그것도 아니었다. 같은 일화들이 여러 번 반복 재생되어 드러났다. 그 일화의 성격이 각각 달랐다. 앞 사건의 이유가 되기도 하고, 다른 이야기로 넘어가는 징검다리가 되기도 했다. 앞의 일화에서 왜 이렇게 이중섭이 했을까 의문을 갖고 읽다가 보면, 뒷장에서 그 실마리를 해결하는 일화의 설명이 나와 궁금증을 해결해줬다. 처음 읽을 때는 익숙하지 않아 껄끄러웠는데, 읽을수록 묘한 매력을 느끼는 구성이란 생각을 하게 했다.
작가 최문희의 문장을 통해 화백 이중섭의 애정을 절절히 느낄 수 있었다. 이중섭뿐만이 아니라, 이중섭의 교우 구상 시인, 그의 아내 남덕, 마사코 역시 최문희 작가의 애정의 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들이 일반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을 수밖에 없는 선택과 행동을 한 것에 대해 구구절절이 설명해 놓았다. 인물들을 옹호하고, 그들을 독자들에게 이해시키려 하는 노력은 소설 시작에서부터, 마칠 때까지 이어졌다. 이러한 노력이 독자들이 이중섭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를 제약시키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만들었다. 이중섭에 대한 작가의 애정의 지나친 과잉은 독자들에게 전달은 되었지만 독자들이 상상의 몫을 많이 앗아간 듯 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천재예술가’에 대해 생각하게 됐다. 이중섭은 생전에 개인전을 통해 작품성을 평단에 인정을 받고 관객들에게 좋은 호응을 받았지만, 그 작품에 대한 가치를 제대로 돈으로 환산 받지 못하고, 병원에서 가족도 만나지 못하고 쓸쓸하게 죽는다. 천재 시인이라 일컫는 이상도 남다른 생각으로 연작시 오감도를 썼지만, 비난도 받고, 폐병으로 살다 일본에서 비운하게 죽는다. 천재 화가 고흐도, 고갱도, 시인 랭보도 비극적인 삶을 살다 단명하여 죽는다. 남과 다른 삶을 사는 천재들. 천재적 예술혼을 발산하지 못하면 힘들기도 하고, 그 천재성 때문에 힘든 삶을 사는 천재들. 천재적 예술성을 발휘하면서 당대에 인정받고, 행복한 삶을 산 예술가들을 알고 싶은 바람이 생겼다. 또 이중섭을 소재로 한 다른 책도 더 찾아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