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ㅇㅇ산 정기받아 …"
교가의 첫 머리에 많이 등장하는 가사지요. 우리 나라 사람들이 산을 신성시하는
의식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에요. 그렇지 않은 다음에야 굳이 교가의 첫 머리에 '
ㅇㅇ산 정기' 운운할 필요가 있겠어요? 위 사진도 그런 의식을 보여주는 사진이
에요. 가야산(伽倻山)의 정기(精氣)를 받은 해미면(海美面)이란 뜻인데, 가야산
을 신성시하는 의식을 엿볼 수 있지요.
산에 가는 행위를 흔히 '등산(登山)'이라고 표현하는데 예전에는 등산보다 '입산
(入山, 산에 들다)'이란 표현을 더 많이 사용했다고 해요. 이 역시 산을 신성시했
던 의식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거에요. 그런데 요즘 산을 대하는 태도를
보면 신성 의식과는 거리가 먼 것 같아요. 개발이란 명목으로 산을 너무 훼손시키
는 일들이 많죠. 한동안 논란이 됐던 설악산 케이블카 추가 설치도 그런 일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을 거에요. 가급적이면 최소한의 개발로 그치는게 산에 대한
예의(?)가 아닐까 싶어요.
가야산은 해미의 가야산보다 합천의 가야산이 더 유명하죠. 한자 표기는 똑같아
요. 합천의 가야산 이름 유래를 찾아보니 두 가지 설이 있더군요. 하나는 대가야
지방을 대표하는 산이라 가야산이란 이름을 붙였다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인도
의 불교 성지 부다가야(Buddhagaya) 부근의 부처 설법처로 신성시되는 가야산
에서 가져왔다는 설이에요. 해미의 가야산은 가야산에 있던 가야사란 절 이름에
서 따왔다고 해요(이상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00
272 참조). 합천 가야산의 경우는 두 가지 설이 다 해당될 수 있지만, 해미 가야
산의 경우는 두 번째 설만이 해당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해미 지역이 대
가야 지방과는 무관하니까요.
한자를 하나씩 읽어 보실까요? 伽는 절가,倻는 나라이름야, 精은 정기정, 氣는 기
운기, 海는 바다해, 美는 아름다울미에요.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伽는 人(사람인)과 加(더할가)의 합자에요. 산스크리티어 gha의 음역이에요.
gha의 음역을 위해 만든 글자인데, 人은 뜻 부분을, 加는 음 부분을 담당하는 형
태로 만들었어요. 절은 스님들이 모여 사는 곳이기에 人으로 뜻 부분을 나타냈고,
加는 음을 나타내기 위해 덧붙인 것이에요. 伽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伽藍(가람, 절), 伽陀(가타, 부처를 찬미하는 노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倻는 亻(사람인)과 耶(어조사야)의 합자에요. 이 글자는 우리 고유 한자에요.
나라이름이란 의미는 人과 관계있어요. 사람들이 사는 어떤 나라 이름이란 의미로
요. 耶는 음만 담당해요. 본래 가야는 伽耶로 표기했어요. 그러다 耶를 伽와 유사
한 형태로 만들어 일체감을 주기 위해 亻을 덧붙여 倻로 표기하게 됐지요. 형태의
일체감을 주기 위해 亻을 덧붙이긴 했지만 결과적으론 의미를 보충하는 역할도 하
게 됐다고 볼 수 있어요. 예는 딱히 들만한게 없네요.
精은 米(쌀미)와 靑(푸를청)의 합자에요. 남색에서 나온 청색이 본래의 남색
보다 더 선명하듯이 여러 잡티가 있는 쌀 중에서 골라낸 좋은 낱알이란 의미에
요. 정기란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골라낸 낱알처럼 가장 본질적인
기운이란 의미로요. 精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精彩(정채), 精密(정밀
)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氣는 米(쌀미)와 气(구름기운기)의 합자에요. 구름기운이 흩어지듯 쌀로 밥을
지어 손님들에게 여기저기 나른다란 의미에요. 기운이란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것이에요. 손님들이 내온 밥을 먹고 기운을 차린다란 의미로요. 氣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氣勢(기세), 氣運(기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海는 氵(물수)와 每(매양매)의 합자에요. 두 가지로 설명해요. 하나. 每에는 풀
이 무성하게 자란다는 의미가 있다. 그렇듯이 수량이 많고 수세(水勢)가 급한 바다
를 의미한다. 둘. 每는 晦(그믐회)의 약자이다. 어두운 그믐처럼 온갖 탁수(濁水)
를 받아들여 물빛이 검은 물[바다]이란 의미이다. 海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
까요? 海洋(해양), 四海(사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美는 羊(양양)과 大(큰대)의 합자에요. 큰 양은 살찌고 보기 좋아 맛있는 먹을
거리가 된다는 의미에요. 본래는 맛있다란 의미였는데, 후에 여기서 의미가 연역
되어 아름답다란 의미를 갖게 됐어요. 입에 맛있는 것이 눈에 맛있는 것, 즉 아름
다란 의미로도 사용하게 된 것이지요. 美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美術(
미술), 美醜(미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절가, 나라이름야, 정기정, 기운기, 바다해, 아름다울미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藍, ( )醜, 四( ), ( )運, ( )密
3. 출신 학교의 교가에 나오는 산 이름과 그 이름의 유래에 대해 말해 보시오.
가야산의 정기를 받은 해미면은 가야산의 영험을 본 것 같아요? 왜냐구요? 작년에
교황님이 이곳을 방문했거든요. 가장 신성한 인물중의 한 사람이 이곳을 직접 방문
했으니 가야산의 영험이 작용했다고 할 만 하잖아요? ^ ^ 덕분에 이 곳 분들 여러가
지로 혜택을 많이 봤죠. 시가지 · 간판이 일제 정비됐고, 도색도 새로 했거든요. 관
광객이 늘은 것은 말할 것도 없구요. 해미 분들, 가야산에 감사의 산신제라도 한 번
올리시는게 예의일 듯… ^ ^
내일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