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의원이 곧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할 것 같죠? 또하나의 인재가 대통령병에 걸려 사경을 헤매는 것 같아 안타깝기 그지없어요. 그를 제대로 돌보지 못한 간병인도 문제이긴 하지만 환자가 병이 깊으니 돌보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필경은 환자도 죽고 간병인도 골병들어 이 집은 조만간 흉가가 될 것 같아요. 오호 애재라!

 

 그래도 아직은 기사회생(起死回生)활 기회가 조금은 남아 있는 것 같아요. 우선 환자가 이 음식점에서 배불리 먹고 기운을 차렸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병이 좀 치유되어 '안'철수 할지도 모르겠어요. 간병인도 이곳에서 배불리 먹고 자신의 위치를 다시 돌아 봤으면 좋겠어요. 지난 번에는 자신이 주연을 했으니 이 번에는 환자에게 양보를 해야 하지 않겠어요? 환자와 간병인 모두 훨훨 털고 일어나 이 집안에 다시 화기가 돌았으면 좋겠어요.

 

이 음식점의 이름은 '아량(雅量)'이에요. 국어 사전에서 그 뜻을 '깊고 너그러운 마음씨'라고 풀이하고 있지요. 雅는 우아할(바를)아, 量은 헤아릴량이라고 읽어요.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는 隹(새추)와 牙(어금니아)의 합자에요. 牙는 음만 담당해요. 까마귀의 한 종류인 갈가마귀를 가리켜요. 갈가마귀는 까마귀보다 몸집이 약간 작고 복부에 흰 색이 있는 것이 특징이에요. 우아하다란 의미는 본 뜻에서 연역된 거에요. 온통 새까만 색의 까마귀보다는 약간의 흰색이 있는 갈가마귀가 좀 낫다는 의미로요. 갈가마귀는 鴉로도 표기해요. 雅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優雅(우아), 雅樂(아악)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曏(접때향)의 약자와 重(무거울중)의 약자가 합쳐진 거에요. 曏은 음을 담당하는데 음이 약간 변했죠(향 --> 량). 경중(輕重)을 헤아린다는 의미에요. 量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料量(요량), 중량(重量)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보실까요?

 

1. 다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우아할(바를)아, 헤아릴량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優(  ), 料(  )

 

3. 새정치민주연합의 내홍에 대한 해결 방안을 하나 제시해 보시오.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혜민 스님의 책이죠. 아량에서 식사하고 나오는 문 · 안 두 분에게 후식으로 드리고 싶은 책이에요.

 

 

오늘은 여기까지. 내일 뵙겠습니다 ~ :)

 

※ 이 글을 쓰고난 몇 분뒤 포털 뉴스를 보니 안철수 의원이 탈당 기자 회견을 했다는 소식이 나왔어요. 안철수 의원, 이제 병 치료가 불가능하게 됐네요. 간병인 문재인 대표는 골병들게 생겼구요. 새정치민주연합은 흉가가 될 것이 불보듯 뻔하군요. 새누리당은 잔치 분위기겠군요. 아, 걱정했던 일이 현실로 나타났군요. 오호, 애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