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냉면 사리하고 모주(母酒) 버렸어!"
"어헝?"
며칠 전부터 뱃속이 좋지 않았는데, 가만 생각해보니, 냉면과 모주에 원인이 있는 듯 싶었어요. 냉면을 과히 좋아하지 않는데, 냉장고에서 그냥 놀고 있기에 아까워서 먹었더니 뱃속이 별로 편치 않더군요. 모주도 기호식품으로 그간 반주로 조금씩 먹었는데, 웬일인지 몸에 잘 안받는 것 같은 거예요. 둘 다 돈이 들어간 것이라 버리는게 좀 아까웠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면, 그간의 습관대로 또 억지로 먹을 것 같아 눈 질끈 감고 과감히 버렸어요, 제가 평소에 음식을 남기거나 버리는 걸 끔찍히 싫어하는 걸 잘 아는 아내기에, 냉면 사리와 모주를 버린 사실에 무척 놀란 눈치더군요.
일반적으로 건강을 지키는 방법은 ‘보(補)’라고 알고 있죠. 부족한 것을 보충해야 건강이 나아진다고 생각하는 거죠. 그러나 건강을 지키는 방법에는 ‘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瀉)’도 있어요. 넘치는 것을 덜어내야 건강이 증진되기는 거죠. 제 경우는 일종의 ‘사’라고 할 거예요. 안먹는 것이 되려 건강에 도움이 되니까요.
사진은 '보화 경옥고(普和 瓊玉膏)'라고 읽어요. 보화는 상호 이름인데 ‘널리 조화롭게 한다’는 의미이고 경옥고는 약명인데 ‘붉은 구슬을 고아 만든 진액’이란 의미예요. 좋은 약재를 사용하여 만든 약이란 의미로 붙인 이름같아요. 경옥고는 한약 중에서 널리 알려진 보약중 하나죠. 인삼, 백복령, 꿀, 황기 등을 고아 만든 것으로, 동의보감에서는 "그 좋은 효능을 이루 다 말할 수 없다(功效不可盡述)."고 말할 정도로 좋은 보약으로 알려져 있죠. 얼마 전 처가 수술을 했는데 지인이 '보'하라고 사다 준 제품이에요. (시험 삼아 아내 몰래(?) 먹어봤는데 맛도 좋더군요.) 그런데 건강에 좋다고 경옥고를 계속 먹으면 건강이 무한 증진될까요? 전, 아니라고 봐요. 특히 몸에 화기가 많은 사람은 되려 건강이 상할 수도 있어요. 인삼 성분은 몸의 열을 올리는 성질이 있는데, 화기 많은 이가 인삼 성분이 들어간 경옥고를 장복하면 화기를 더 돋울 수 있기 때문이죠.
시중(時中)은 동양철학의 핵심 개념인데, 이는 건강에도 적용되는 것 같아요. '보'와 '사'가 균형을 이뤄야 온전한 건강이 이뤄진다고 보는 거죠. 전 아까운 냉면과 모주를 버린 후 뱃속이 가라앉았어요. 그러나 단순히 그 음식을 먹지 않아서 뱃속이 가라앉은 것 같지는 않아요. 어쩌면 그 음식과 함께 버리기 싫어하는 일종의 집착도 놓아 버렸기에 뱃속이 가라앉은 것은 아닌지 모르겠어요. ‘사’는 단순한 물리적 배설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배설도 포함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이 경우, ‘보’도 마찬가지겠지요?
사진의 한자를 자세히 살펴 볼까요?
普는 竝(나란할 병)과 日(날 일)의 합자예요. 햇빛이 사라져 일체의 색깔을 구분할 수 없는 똑같은 상태가 되었다란 의미예요. 넓을 보. 普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普遍(보편), 普通(보통)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和는 口(입 구)와 禾(벼 화)의 합자예요. 마음의 소리가 서로 잘 통한다는 의미예요. 口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禾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가장 순수한 곡물인 벼처럼 상호 순수한 마음으로 소통한다란 의미로요. 화할 화. 和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和合(화합), 和音(화음)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瓊은 붉은 빛이 도는 구슬이란 의미예요. 王(玉의 변형, 구슬 옥)으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나머지 부분은 음을 담당해요. 耕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瓊團(경단), 瓊杯(경배, 옥으로 만든 술잔)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玉은 구슬 세 개를 하나로 꿰어놓은 형상이에요. 一은 구슬을, 丨은 관통한 모습을 표현한 것이에요. 본래는 王의 형태로 썼는데, 후에 임금이란 뜻의 왕과 구별하기 위해 丶를 추가해 玉의 형태로 쓰게 됐어요. 구슬 옥. 玉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玉石(옥석), 玉盤(옥반, 옥으로 만든 쟁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膏는 月(肉의 변형, 고기 육)과 高(높을 고)의 합자예요. 살쪘다란 의미예요. 月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高는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지방이 높은 상태가 살찐 것이란 의미로요. ‘기름’이란 뜻으로도 사용하는데, 본뜻에서 연역된 의미에요. 살찌면 기름기가 많잖아요? 기름 고. 膏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膏藥(고약), 膏粱(고량)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普 넓을 보 和 화할 화 瓊 옥 경 玉 구슬 옥 膏 기름 고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石 ( )藥 ( )團 ( )遍 ( )合
3. '보약(補藥)'과 '사약(瀉藥)'에 관한 경험이 있으면 소개해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