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는 프라다를 신고, 천사는 아지오를 신는다."

 

문재인 대통령의 헌 구두가 화제죠. 청각 장애인이 만든 무명 구두[아지오]에다 - 청각장애인 구두제작 업체(구두 만드는 풍경)는 명품을 지향했다지만 - 구두 바닥과 뒷축이 헤져서 말이죠. 하루가 멀다하고 감동을 쏟아내어 숨이 벅찰 정도인데, 이제는 신발로도 감동을 주는군요. 국정 농단 주범 최순실이 신었던 프라다와 대비시키니 그 가치와 감동이 배가돼요.

 

정치가는 바람이요, 백성은 풀이다. 풀은 바람이 부는대로 눕는다. 오래된 동양의 정치 윤리인데, 이게 결코 시효만료된 정치 윤리가 아니란 걸 실감하게 되네요. 지도자가 무심히(?) 신은 신발 하나가 이렇게 국민들에게 영향을 주니 말이에요. 앞으로는 최순실이 신었다는 프라다 같은 고가의 신발을 신는 것이 결코 자랑스러운 일이 못될 것 같아요. 그런데 이게 단순히 어떤 신발을 신느냐의 일로만 끝나겠어요? 전반적인 우리 사회의 그릇된 가치를 바로잡는 계기가 되겠지요. 돈있고 세력있다 위세부리거나, 돈없고 세력없다 기죽이는 잘못된 사회 기풍이 바로잡혀지지 않겠는가 하는 것이지요. 돈있고 세력있어도 겸손하고 검소하게 살며, 돈없고 세력없어도 성실하게 살면 존중받는 사회기풍으로 말이에요.

 

사진은 아내의 신발이에요. 겉으로 보기엔 있어보이지만 '메이드 인 차이나'예요. 아내는 늘 저가의 신발과 의류를 구매하죠(남편과 애들 것은 비싼 것을 사주려고 하면서요). 아내의 신발이나 의류를 볼 때면 늘 짠한 느낌을 받아요. 아내는 우리 집 경제 대통령이에요. 대통령이 이렇게 검소한데, 저나 아이들이 함부로 낭비 할 수 없죠. 역시 정치는 바람이에요. 집안 살림을 건사하는 것도 정치죠.^ ^

 

사진의 한자는 신발 바닥에 있는 한자예요. 한자를 읽어 볼까요? 투기(透, 공기 통함), 항진(抗震, 진동 방지), 防臭(방취, 냄새 방지)라고 읽어요. 한자를 자세히 살펴 볼까요?

 

는 辶(걸을 착)과 秀(빼어날 수)의 합자예요. 뛰어넘다란 의미예요. 辶으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秀는 음을 담당하면서(수→투)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뛰어 넘은 것은 보통 사람들 수준보다 빼어난 것이란 의미로요. 통하다란 의미는 본뜻에서 연역된 거예요. 통하는 것은 경계를 뛰어넘은 것이란 의미로요. 통할 투. 透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透過(투과), 透映(투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중첩된 구름이 위로 상승하는 모양을 그린 거예요. 여기서 기운이란 의미가 나왔어요. 기운 기. 일반적으로 기운 기는  氣로 표현하는데, 气는 氣의 원형이에요. 신발에 씌인 气는 氣의 간체자인데, 원형으로 돌아간 셈이에요.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空气(공기), 運(기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扌(手의 변형, 손 수)와 亢(목 항)의 합자예요. 막는다란 의미예요. 扌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亢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목이 머리와 가슴 중간에서 자신의 역할을 담당하듯, 외부의 침략을 막아내고 자신의 위치를 고수한다는 의미로요. 막을 항. 抗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抗拒(항거), 抵抗(저항)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雨(雷의 약자, 우레 뢰)와 辰(震의 약자, 흔들 진)의 합자예요. 요란한 천둥 번개란 의미예요. 雨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震은 음을 담당하면서 뜻도 일부분 담당해요. 천둥 번개가 치면 사물이 진동한다는 의미로요. 천둥소리 진. 흔들릴 진. 震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震動(진동), 震怒(진노)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은 阝(阜의 변형, 언덕 부)와 方(旁의 약자, 곁 방)의 합자예요. 둑이란 의미예요. 阝로 의미를 표현했어요. 둑은 언덕과 유사하죠. 方은 음을 담당하면서 의미도 일부분 담당해요. 둑은 물 옆에 조성하는 것이란 의미로요. 막다란 의미는 본의미에서 연역된 거예요. 둑은 물이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해 쌓은 것이란 의미로요. 막을 방. 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防禦(방어), 防衛(방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自(鼻의 약자, 코 비)와 犬(개 견)의 합자예요. 개가 잘 맡는 것이 냄새란 의미예요. 냄새 취, 臭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惡臭(악취), 體臭(체취)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透 통할 투   气 기운 기  抗 막을 항   震 흔들 진  防 막을 방   臭 냄새 취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惡(   )   (   )過   抵(   )   空(   )   (   )動   (   )禦

 

3. 신발과 관련한 에피소드가 있으면 한 가지 소개해 보시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