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디딩 띠디딩….
익숙한 가락의 기타 소리가 들렸다. 60 중반은 족히 넘었을 노파가 로망스를 연주하고 있었다. 무대가 아니다. 전통 시장이었다. 검게 탄 얼굴, 투박한 손, 거기에 시장에서 야채를 파는 노파가 로망스 연주라니…. 노파는 오가는 사람들의 시선에 아랑곳없이 자신의 기타 연주에 도취되어 있었다.
아내와 둘이서 끝까지 연주를 들은 후 박수를 쳤다. 노파는 약간은 부끄러운 듯 약간은 자랑스러운 듯 함박 웃음을 지었다. 아내가 멋있다고 추임새를 넣었더니, 노파가 갑자기 이야기 보따리를 풀어 놓았다. "내가 예전에는 꽤 잘나갔지. 결혼식이 열릴 때면 항상 초대받았다우. 기타를 가르치셨던 ㅇㅇㅇ 선생님은 정말 유명한 분이셨어…."
그렇다. 비록 지금은 시장에서 야채를 파는 별볼일없는(비하의 의미가 아니다. 오해 없으시길) 노파지만, 이 노파에게도 한 때 밤하늘의 빛나는 별과 같은 시절이 있었던 것이다.
사진은 '투주호심 산월입렴 수수영롱 신수재화도간(投舟湖心 山月入簾 水樹玲瓏 身遂在畫圖間)'이라고 읽는다. '호수 한 가운데 배를 띄우니 / 산에 뜬 달 발 안으로 들어오네 / 물가의 나무들 영롱한 빛 발하니 / 이내 몸 그림 속에 들어온 듯'이라는 뜻이다.
호수 한가운데 배를 띄웠다는 것으로 보면 여름 철이 아닌가 싶다. 발이 등장한 것도 이런 추정에 신빙성을 보탠다. 한낮의 더위가 한풀 꺽인 여름 밤,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호수에 배을 띄웠다. 내실(內室)에 발을 드리우고 앉아 있는데 산에 둥근 달이 떠올라 내실 안까지 환하다. 가만히 있기 어려워 발을 걷고 밖으로 나와보니 호숫가 나무들이 물에 비친 달빛을 되받아 영롱한 빛을 발하고 있다. 몽환적인 풍경이다.
시인은 이 몽환적인 풍경의 느낌을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지 고민했을 것이다. 그러다 마침내 찾은 표현. 이내 몸 그림 속에 들어온 듯 하구나!
그런데 "그림 속에 자신이 들어온 듯 하다"는 표현은 한시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하는 진부한 표현이다. 하지만 이 표현을 누군가 처음 사용했을 때는 많은 이들이 찬사를 보냈을 것이다. 그랬기에 진부하도록 사용한 것 아니겠는가. 시인은 마지막 구절 표현을 두고 양가의 감정을 가졌을 것이다. 진부한 표현을 답습할 것인가, 새로운 표현을 찾을 것인가. 결국 진부하지만 이 이상의 표현을 찾기 어려워 답습한 것이 아닐까 싶다.
진부는 항상 타파해야 할 부정적 대상으로만 취급받는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꼭 맞는 말도 아니다. 진부가 한때 참신의 아이콘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거기에서 취할 수 있는 에스프리도 분명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이란 바로 이런 태도를 표현한 말 아니겠는가.
낯선 자를 두어자 자세히 살펴보자.
簾은 竹(대 죽)과 廉(모 렴)의 합자이다. 집의 한 측면에 바람과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대나무를 쪼개 엮어 만든 설치물이란 뜻이다. 발 렴. 竹을 뜻을, 廉은 뜻과 음을 담당한다. 簾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珠簾(주렴), 垂簾聽政(수렴청정) 등을 들 수 있겠다.
玲은 王(玉의 변형, 구슬 옥)과 令(아름다울 령)의 합자이다. 옥소리란 뜻으로도 사용하고, 아름답다란 뜻으로도 사용한다. 옥소리 령. 아름다울 령. 王은 뜻을, 令은 뜻과 음을 담당한다. 玲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玲琅(영랑, 옥이나 쇠붙이가 쟁그렁 울리는 소리), 玲玲(영령, 옥이 울리는 소리. 곱고 투명한 모양) 등을 들 수 있겠다.
瓏은 王(玉의 변형, 구슬 옥)과 龍(용 룡)의 합자이다. 본래는 기우제 때 사용하던 구슬이란 의미였다. 王은 뜻을, 龍은 뜻과 음(룡→롱)을 담당한다. 龍은 비를 부르는 신물(神物)이기에 뜻으로도 사용되었다. 후에 王에서 뜻이 연역되어 '환하다'란 뜻으로도 쓰이게 되었는데, 지금은 이 뜻으로 주로 사용한다. 환할 롱. 瓏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 玲瓏(영롱), 瓏瓏(농롱, 광채가 찬란한 모양) 등을 들 수 있겠다.
전통 시장을 찾을 때면 항상 그 노파가 있는 곳을 방문한다. 단골이 된 것. 로망스를 연주하는 야채장수 노파라니, 얼마나 멋진 노파인가! 참신은 진부하고, 진부는 참신하다. 사진은 한 만두집에서 지인이 찍어 보낸 사진중 일부인데, 『고금도서집성』(청대에 발간된 일종의 백과사전)에 나오는 내용을 필사한 것이다. 어허, 만두집에 고서(古書, 옛 글씨)라니. 이 또한 참신하면서 진부하고, 진부하면서 참신하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