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가던 날 뒷집 아이 돌이는

각시되어 놀던 나와 헤어지기 싫어서

장독뒤에 숨어서 하루를 울었고

탱자나무 꽃잎만 흔들었다네

지나버린 어린 시절 그 어릴적 추억은

탱자나무 울타리에 피어 오른다

(산이슬 노래, 이사가던날)

 

 

오늘은 지난 해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방문했던 해미(海美)의 읍성 현판을 하나 보시죠. 해미 읍성은 일명 '탱자성'이라고도 불러요. 위 노래 말에도 나오지만 탱자나무는 가시가 많기 때문에 일반집에서 울타리로 많이 사용했죠. 해미 읍성도 성 밖으로 탱자나무를 심어 적의 침입을 경계하는 울타리로 삼았다고 해요. 지금은, 없어요 ^ ^ 이름만 남아 있을 뿐이죠. 그 흔적을 현판에서 볼 수 있죠. 탱자나무지(枳)  성성(城) 다락루(樓) - 지성루(枳城樓)에서요. 탱자나무 꽃이 하얗게 핀 성--- 아름다웠을 것 같아요 ^ ^

 

자, 한자를 자세히 알아 볼까요? 城과 樓는 전에 다뤄서 오늘은 枳 한글자만 살펴 보면 되겠네요 ^ ^

 

는 木(나무목)과 只(다만지)의 합자에요. 只에는 구분하다란 의미가 있어요. 그 열매가 귤과 비슷하나 실제는 다른 열매(탱자)가 열리는 나무란 뜻이에요. 枳가 들어간 예는 뭐가 있을까요? 枳實(지실, 탱자) 정도를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문제를 아니 내겠어요^ ^  대신 '이사가던 날' 노래를 한 번 불러 보시죠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행복해지고 싶으신가요? 그러면 이 절집을 찾으세요. 왜냐구요? ^ ^  절집 이름을 보세요. 날일(日) 즐거울락(樂) 절사(寺), 날마다 즐거운 절집이잖아요 ^ ^ 힘들고 어려울 때 이 절집을 찾으면 왠지 많은 위로을 받을 것 같아요~

 

오늘은 두 자만 살펴 보면 되겠네요.

 

日은 태양을 그린 거에요. 본래는 원형으로 됐었는데 쓰기가 불편하여 사각 형태로 바뀌었죠. 가운데의 一은 태양의 정기를 상징하는 기호에요. 日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日月星辰(일월성진), 日蝕(일식) 등을 들 수 있겠네요.

 

樂은 두가지 설명이 있어요. 하나. 나무 거치대[木] 위에 큰 북[白]과 작은 북[幺] 두 개를 설치한 모습이다. 둘. 거문고나 비파의 초기 형태를 표현한 것으로, 울림통[木] 위에 늘여놓은 현줄[幺幺]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가운데[白]는 현줄을 누르고 있는 손가락을 그린 것이다. 둘 다 일리가 있죠? 어떤 식으로 설명하든 樂을 '음악, 악기'라는 의미로 보는 것은 동일해요. 樂은 '음악악, 즐거울락, 좋아할요'의 세 가지 뜻과 음으로 사용해요. 본래의 의미 -- 음악, 악기-- 에서 연역된 것은 짐작하실 수 있겠죠? 예를 하나씩 들어볼까요? 音樂(음악), 娛樂(오락), 樂山樂水(요산요수).

 

자,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 한자를 안보고 쓸 수 있을때까지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날일  음악악, 즐거울락, 좋아할요

 

2.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쓰시오.

 

   娛(     ), (       )蝕

 

3. 다음을 50번 소리내어 읽으시오.

 

  오늘이 내 생애 가장 즐거운 날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날마다 즐거운 날 되세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해맑은 어린아이의 웃음을 띈 부처님을 만나 보시죠. 유명한 서산 마애 삼존불이에요. 흔히 '백제의 미소'로 불리죠. 다가가서 볼을 쓰다듬어주고 싶은 생각 안드세요? 정말 보면 볼수록 정감가는 부처님이에요.

 

이 부처님을 보면 '종교란 무엇인가?'란 생각이 들어요. 종교하면 어떤 느낌(생각)이 드세요? 저는 왠지 무겁고 칙칙한 느낌이 들어요. 겁주고 떨게 만들어 복종하게 만든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에요. 종교는 사람을 자유롭고 평화로우며 따뜻하게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종교가 사람을 위해 있어야지, 사람이 종교를 위해 있어서는 안되지 않겠어요? 이 부처님을 보면 저절로 마음이 열리고 따뜻해져요. 한갖 돌에 새긴 조각이지만 그 어느 종교의 가르침보다 훨씬 더 몸과 마음을 순화시켜 주는 것 같아요. 이런 조각을 남긴 그 이름 모를 석공은 당대의 어느 위대한 학자나 고승보다 훨씬 더 뛰어난 인격자였을 것 같아요. 아마 부처님이 환생하신 것인지도 모르겠어요 ^  ^

 

이제 안내 표지석의 한자를 한 번 보도록 하죠. 오른쪽부터 읽어야겠죠? ^ ^ 서산(瑞山) 용현리(龍賢里) 마애여래삼존상(磨崖如來三尊像)이라고 읽어요. 서산과 용현리는 지명이고, 마애여래삼존상은 돌 벼랑에 새긴 진여(眞如: 진리)에서 온[來] 세 분의 존경받는 부처님 형상이란 뜻이에요. 가운데 있는 부처님은 본존불(本尊佛: 우리가 알고 있는 석가모니)이고 왼쪽에 서있는 부처님은 보살(菩薩)이고 오른쪽에 반가부좌로 앉아 있는 부처님은 미륵(彌勒)이에요.

 

는 상서로울서, 은 뫼산, 은 용룡, 은 어질현, 는 마을리, 는 갈마, 는 벼랑애, 는 같을여, 는 올래, 은 석삼, 은 높을존, 은 형상상이에요.

 

이제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배운게 많군요. , 磨,, 崖, , , 만 보도록 하죠 ^ ^ 

 

(굳을견)의 줄임 글자와 (조개패, 여기서는 화폐의 의미. 고대에는 조개껍질이 화폐대용으로 사용됐었죠)의 합자에요. 지조가 굳고 행실이 바르며 재주가 많아 화폐[]처럼 귀하게 널리 쓰이는 사람이란 뜻이에요. 이 의미를 줄여서 어질다라고 표현한 것이죠. 은 음도 담당하는게 소리값이 약간 변했죠.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賢明(현명), 聖賢(성현) 등을 들 수 있겠네요.

 

磨는 靡(나눌미)의 줄임글자와 石(돌석)의 합자에요. 곡식을 갈아 껍질과 알곡으로 나누는[靡] 돌로 만든[石] 물건, 즉 '맷돌'이란 의미에요. 이 의미를 줄여 '갈다'란 뜻으로 사용하고 있는 거죠. 磨가 들어간 예는 무엇을 들 수 있을까요? 磨擦(마찰), 硏磨(연마)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崖는 岸(언덕안)의 줄임 글자와 圭(홀규, 여기서는 흙이 중층으로 쌓였다는 의미로 쓰였어요)의 합자에요. 흙이 층층으로 쌓인[圭] 높은 언덕[岸]의 낭떠러지라는 의미에요. 崖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斷崖(단애), 絶崖(절애) 등을 들 수 있겠네요.

 

는 본래 보리를 그린 거에요. 춘궁기에 굶주림을 면해 주는 곡식이기에 신이 보내온 선물이란 의미에서 오다라는 뜻으로도 사용하게 되다 그 의미로 굳어졌죠. 그럼 보리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그렇죠, ()으로 표현해요. 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近來(근래), 往來(왕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술유)(마디촌, 은 손을 그린거에요. 여기서는 그 의미로 사용됐죠)의 합자에요. 손으로 공손히 받들어야 될 술이 담겨있는 술잔이란 의미였어요. 손님 접대나 의식 행사에서 사용하던 술잔이란 의미였죠. ‘()란 의미는 술잔을 공손히 다룬다는데서 연역된 의미죠.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尊重(존중), 尊敬(존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사람인)(코끼리상)의 합자에요. 사람들이 코끼리 그림을 보고 상상한 코끼리의 모습은 -- 코끼리를 쉽게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생긴 거죠 -- 실제 모습과 비슷하다란 의미에요. 이런 의미를 줄여서 형상이라고 사용하고 있는 거에요. 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想像(상상), 銅像(동상)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이제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안보고 쓸 수 있도록 허벅지에 열심히 써 보시오.

 

   어질현, 올래, 높을존, 형상상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往(    ), 賢 (    ),  (    ), (     )

 

 

혹시 타타타란 노래 아시나요? 타타타는 如來와 관련 있어요. 如來를 산스크리트어로는 타타아가타(tatha-gata)라고 해요. 타타아가타는 타타(tatha-)와 가타(gata)’ 혹은 타타(tatha)와 아가타(agata)’의 합성어로 봐요. 결합 방식에 따라 해석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 타타아(tatha-)는 여시(如是) 또는 여실(如實)이라는 뜻이고, 가타(gata)가다’라는 뜻이에요. 타타(tatha)는 진실이란 뜻이고아가타(agata)도달한다’, ‘오다라는 뜻이에요.

 

그래서 타타아가타는 지금까지의 부처들과 같은 길을 걸어서 열반의 피안에 간 사람, 또는 진리에 도달한 사람이라는 뜻이 되요. 따라서 타타아가타의 번역어인 여래(如來)여실히 오는 자’, ‘진여(眞如)에서 오는 자라는 뜻으로, 다시 말하면, ‘진여세계에서 와서 진여를 깨치고 여실한 교화활동 등의 생활을 한 뒤에 사라져 가는 이라는 뜻이지요. 흔히 석가모니를 여래(如來)라고 부르죠. 그런데 원시불교시대에 석가모니가 여래를 복수형으로 많이 사용하였고, 윤회에서 해탈한 진인(眞人)에 대하여 제3인칭 제3자적으로 사용하였을 뿐, 1인칭으로서 자신을 호칭할 때 여래라고 한 경우는 없었다고 해요. ()이라는 말도 당시 사람에게는 희귀한 것으로 여겨졌으나, 여래(如來)라는 말은 더욱 더 이상적인 사람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고 해요. 후세에는 여래(如來)와 불()을 구별없이 사용하게 되었죠. (이상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6312 참조)

 

오늘은 여기까지. 타타타 노래를 들으면서 헤어질까요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장(壯: 웅장하다)하던 금전벽우(金殿碧宇: 화려한 건물) 찬 재 되고 남은 터에 이루고 또 이루어 오늘을 보이도다 흥망이 산 중에도 있다 하니 더욱 비감 하여라"

 

가곡 '장안사'에요. 혹 들어 보셨는지요? 흥망의 비감을 노래한 것인데 일정강점기에 지어진 가사라 더욱 애조를 띄죠. 오늘 소개할 곳이 바로 이 장안사 노래에 딱 들어 맞는 곳이에요.

 

普願寺址(보원사지). 넓을보(普) 원할원(願) 절사(寺) 터지(址), 보원사 터에요. 한때 1000명의 승려와 100개의 암자를 거느린 대사찰이었는데, 지금은 폐허 위에 돌탑과 당간지주 돌확 비석만 있을 뿐이죠. 세속과 무관할 것 같은 흥망이 산중의 절에도 있으니 '더욱 비감'해요.

 

普願은 '생사고해에 허덕이는 일체 중생을 널리 구제하기를 기원한다'는 의미에요. 규모가 컸던 절집에 딱 맞는 이름 같애요. 이곳에 남아있는 돌탑을 보면 이곳의 절이 꽤 융성했던 곳이구나 하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어요. 규모가 꽤 크고 짜임새있게 만들어 졌거든요. 얼핏보면 불국사의 석가탑을 연상시켜요.

 

기단부에 있는 한 부분을 찍어 봤어요. 얼굴 모습을 보니, 다음 시간에 볼 마애삼존불의 얼굴과 많이 닮은 것 같더군요. 무척 정감있게 느껴졌어요.

 

아, 돌탑 부분의 한자를 소개 안했네요? 五는 다섯오, 層은 층층, 石은 돌석, 塔은 탑탑이라고 읽죠. 普願寺址五層石塔은 '보원사지오층석탑'이라고 읽어요 ^ ^

 

자,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寺,五,石은 배웠으니 빼도록 하죠 ^ ^

 

普는 並(아우를병, 나란할병)과 日(날일)의 합자에요. 햇빛[日]이 사라져 일체의[並] 색깔을 구분할 수 없는 똑같은 상태가 되었다란 의미에요. 普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普遍(보편), 普通(보통)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願은 原(언덕원)과 頁(머리혈)의 합자에요. 자신의 높은[原] 목표가 달성되도록 상대에게 머리숙여[頁] 요청한다란 의미에요. 原은 음도 담당하죠. 願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所願(소원), 祈願(기원)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址는 土(흙토)와 止(그칠지, 止는 원래 발을 그린 거에요. 여기서는 발의 의미로 사용됐죠)의 합자에요. 사람이 발에 의지하여 서듯, 성이나 언덕을 쌓을 때 토대가 되는 땅이란 의미에요. 止는 음도 담당하죠. 址가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城址(성지), 陶窯址(도요지, 자기 굽던 곳) 등을 들 수 있겠네요.

 

層은 屋(집옥)의 줄임 글자와 曾(거듭증)의 합자에요. 이층이상으로 된 집이란 의미죠. 曾은 음도 담당하는데, 약간 음이 변했죠. 層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層階(층계), 層層臺(층층대)를 들 수 있겠네요.

 

塔은 土石(토석)으로 만들기 때문에 土(흙토)가 들어가 있죠. 나머지 부분은 음을 담당해요. 본래 산스크리트어 Sutpa를 음역한 것이에요. 처음에는 卒塔婆(졸탑파, 중국어 발음으로는 '추따퍼'에요. 원음과 유사하죠?) 혹은 塔婆로 번역했다가 나중에 塔으로만 쓰게 됐어요. 塔은 본래 예불하는 장소라는 뜻이었는데 뒤에 사리를 보관한 건축물이란 의미로 사용하게 됐어요. 塔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石塔(석탑), 木塔(목탑)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자, 정리할 겸 문제를 한 번 풀어 볼까요?

 

1. 다음을 안보고 쓸 수 있을 때 까지 허벅지에 열심히 써보시오.

 

  넓을보, 원할원, 터지, 층층, 탑탑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祈(     ), (     )遍,  (         )臺,  城(     ),  石(     )

 

3. 다음 밑줄에 해당하는 한자어를 읽고 뜻을 말해 보시오.

 

    하던 金殿碧宇 찬 재 되고 남은 터에 이루고 또 이루어 오늘을 보이도다 흥망이 산 중에도 있다 하니

    더욱 비감 하여라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가곡 장안사를 들으며 마치도록 하죠 ^ ^ 내일 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경허 스님이 주석하셨던 절집 현판을 보도록 하죠. 天藏菴(천장암)이에요. 天은 하늘천, 藏은 감출장, 菴은 암자암이에요. 菴은 지난 번 간월암에서 나왔던 庵과 통용해서 써요. 암자 이름이 '하늘이 숨겨놓은 곳'이네요. 무슨 의미일까요? 깊숙한 곳이란 의미도 있겠고(실제로 매우 깊숙한 곳에 있어요 ^ ^) 하늘이 세상을 위해 무언가를 숨겨 놓은 곳이란 의미도 있을 것 같아요. 진리를 간직하고 있다는 의미겠지요. 경허 스님이 이곳에서 득도하셨다고 하니 이 의미도 맞을 것 같아요 ^ ^ 이참에 경허스님께서 득도 하셨다는 방을 한 번 구경해 볼까요?

 

 1평이 채 안되는 눕기도 힘들 정도의 공간이더군요. 이곳에서 스님은 1년간 수행을 하셨다고 해요. 모기와 빈대가 많아 이들에게 물리고 뜯겨 온몸이 헐은 적이 많으셨다는군요. 불살생의 계율을 지키시다보니 그러셨겠지요. 아마 스님은 이곳에서 장좌불와(長坐不臥: 계속 앉아 있고 눕지 않음)의 수행을 하셨을 것 같아요. 스님은 한창 수행하실때는 잠을 물리치기 위해 송곳으로 살을 찌르기도 하고 칼을 갈아 턱밑에 놓기도 하셨다는군요.

 

스님의 방을 보면서 '나는 가진게 너무 많구나.'하는 반성을 하게 되더군요. 행복은 소유에서 오는게 아니라 존재에서 오는 것이라는 누군가의 말도 생각나구요. 스님의 방은 그 자체가 커다란 법문이었어요 ^ ^  

 

자, 이제 한자를 좀 자세히 알아 볼까요?

 

天은 一 과 大의 합자에요. 大는 사람을 그린 것이고 一은 사람의 머리 위에 있는 그 무엇이란 의미에요. 사람[大]위에 있는[一] 지극히 높은 곳이란 의미지요. 天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天地(천지), 天下(천하)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藏은 十十(풀초)와 臧(숨길장)의 합자에요. 풀[十十]로 덮어 숨겨서[臧] 안보이게 한다란 의미지요. 본래 臧으로만 표기했는데 후에 十十가 추가 되었어요. 臧은 음도 담당하죠. 藏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守藏(수장), 八萬大藏經(팔만대장경)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오늘은 요기까지 ^ ^

 

정리할 겸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을 안보고 쓸 수 있을 때까지 허벅지에 써 보시오.

  藏 감출장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地,  守(    )

 

3. 정좌하고 10분간 명상하시오.

 

내일 뵈요~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