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먼이 지배하는 고대 제정(祭政)사회로 돌아간 한국"
외국에서 바라보는 현시국 모습이라고 하죠. 북한은 김씨 일가가 지배하는 봉건 왕조이고, 남한은 샤먼이 지배하는 제정 사회이고…. 이 나라가(북한을 포함하여) 어쩌다 이 지경이 됐는지 모르겠어요. 지하에 계신 순국 선열들이 가슴을 치며 통탄할 것 같아요. "내가 이런 나라를 만들자고 목숨 바쳐 희생했던가!"
사진은 산책 중에 주운 병 뚜껑이에요. '백련(白蓮)'이라고 읽어요. '하얀 연(꽃)'이란 뜻이지요. 논두렁에서 주웠는데, 농약 뚜껑 아니면 막걸리 뚜껑일 듯 싶더군요. 집에 와서 인터넷을 찾아보니 꽤 유명한 막걸리 이름으로 나오더군요. 막걸리 뚜껑이었어요.
찌끄러진 뚜껑을 쳐다보니 청대 중기를 뒤흔들었던 '백련교(白蓮敎)의 난'이 떠오르더군요. 샤먼 정국(?)때문에 그런 생각을 떠올렸는지도 모르겠어요.
백련교는 송대 후기에 발생한 불교 계통의 신흥 종교예요. 신흥 종교가 대개 그렇듯 현교(顯敎) 형태가 아니고 밀교(密敎) 형태로 전파됐죠. 핵심 내용 역시, 신흥 종교가 대개 그렇듯, '구원'이 중심을 이뤘구요. 석가모니 사후부터 56억 7천만 년이 지나면 미륵불이 현세에 내려와 현세의 혼탁함과 모든 고난을 없애고 지상에 천상의 극락세계를 세울 것이라고 포교했어요. 질곡에 시달리던 민중들에게 급속도로 퍼져 나갔죠. 이후 백련교는 정부의 탄압을 받긴 했지만 명, 원, 청대에 걸쳐 계속 명맥을 유지했어요(명을 건국한 주원장도 한때 백련교도였어요).
청대 중기에 들어와 호북성 양양에서 최초의 백련교 봉기가 발생했어요(1796년). 양양지방의 관리였던 백련교주 제림(齊林)은 관리들이 백련교도뿐만 아니라 무고한 백성에 가하는 횡포를 참지 못해 반란을 준비했죠. 그런데 사전에 발각되고 말았어요. 제림은 반란의 깃발도 올리지 못한 채 동지들과 함께 세상을 뜨고 말았죠. 비록 제림은 죽었으나 그의 뜻은 부인 왕총아(王聰兒)에게 이어졌어요.
양양의 봉기는 큰 호응을 얻었고 섬서성, 사천성의 백련교도들도 봉기에 가담했죠. 백련교 반란군의 세력이 급속도로 확장되자 청 조정은 즉시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여 반란 진압에 나섰어요. 왕총아는 게릴라 전법을 구사해 사천, 섬서, 감숙, 하남 등지를 떠돌며 청나라 군대를 상대하며 승리를 거두죠.
백련교 반란군에게 거듭 패하자 청 조정은 1799년 만주에 주둔하고 있던 액륵등보(額勒登保)와 덕릉태(德陵泰)를 불러 지휘관으로 삼고, 반란군 진압을 명했어요. 청나라군은 농민들을 집결시켜 백력교도와의 접촉을 단절시키고, 백련교 반란군의 식량 조달과 병력 보충도 차단시켰죠. 또한 청군은 그 지역 지형에 익숙한 현지인들을 중심으로 향용을 조직하여 토벌전에 투입했어요. 전세가 백련교 반란군에게 불리해지자 왕총아는 모산으로 후퇴했죠. 청군은 추격전 대신 모산 전체를 포위했고, 포위망을 뚫지 못한 왕총아는 결국 자결로 생을 마감하죠. 이후 백련교 반란군은 청군에게 항복을 거부한 채 항쟁했지만, 1801년에 지도자였던 유지협이 체포당했고, 1805년에는 결국 진압되었죠.
백련교의 난을 진압했지만 청 조정의 출혈도 만만치 않았어요. 난을 진압하기 위해 약 10년의 세월을 전쟁으로 보내며 국토를 황폐화시켰고, 1억 2천만 냥 내지 2억 냥이란 거금을 지출했기 때문에 재정이 형편없게 되었죠. 게다가 백련교 반란군에게 거듭 패하며 관군의 부패함과 무능함을 세상에 스스로 알렸죠. 또한 관군이 자력으로 난을 진압하지 못하고 지방 향용의 힘을 빌린 것에 큰 충격을 받았어요. 백련교의 난은 청나라 쇠퇴의 계기를 제공했죠.
백련교의 난이든 지금 우리 나라의 샤먼 정국이든 근본 원인은 정부의 부패와 실정에 있어요. 백련교의 난이나 샤먼 정국은 이러한 상황에 저항하거나 혹은 편승하여 발생한 것 뿐이지요. 따라서 그 해법은 백련교의 난을 평정하거나 샤먼을 처단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부패한 정부를 개혁하고 실정을 바로잡는데 있어요. 이런 차원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책임 총리, 거국 중립 내각, 헌정 중단 우려' 등을 운운하며 자리에 연연해선 안돼요. 부패와 실정으로 대표되는 본인이 물러나야 이 나라가 바로설 수 있기 때문이죠. 그것이 그나마 그가 이 나라에 기여하는 바이기도 하구요.
* 백련교 관련 내용은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63XX18100076 에서 인용하거나 참조했어요.
한자를 살펴 볼까요?
白은 日(날 일)과 丶의 합자예요. 해[日]가 떠오르기 전의 빛깔[丶]은 하얗다는 의미예요. 丶는 해가 떠오르기 전의 빛깔을 상징한 표시예요. 흰 백. 白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黑白(흑백), 白夜(백야) 등을 들 수 있겠네요.
蓮은 艹(풀 초)와 連(이을 련)의 합자예요. 연밥이란 의미예요. 艹로 뜻을 표현했어요. 連은 음을 담당해요. 연밥 련. '연(꽃)'이란 의미로도 사용해요. 병 뚜껑에서는 '연(꽃)'이란 의미로 사용됐죠. 蓮이 들어간 예는 무엇이 있을까요? 蓮根(연근), 蓮房(연방, 연밥이 들어있는 송이) 등을 들 수 있겠네요.
정리 문제를 풀어 볼까요?
1. 다음의 한자를 허벅지에 열심히 연습하시오.
白 흰 백 蓮 연(꽃) 련
2.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손바닥에 써 보시오.
( )根 黑( )
3. '박대통령 하야'에 대한 의견을 말해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