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아 괜찮아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어린이 마음 건강 교실 3
토마스 S. 그린스펀 지음, 홍성미 옮김, 김령언 그림, 전미경 감수 / 길벗스쿨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완벽이란 결합이 없는 완전함을 말 하는 것 이다.
결합이 없다는 것은 흠이 없다는 뜻 이므로...점수로 말 한다면 백점을 말 하는것 같다.
이런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을 완벽주의자라 하여..주변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이런 완벽주의는 어떻게 생겨나는 것 일까??
아마도 어려서부터 생겨난 습관이나 버릇이 아닐까 싶다..
어린 아이들이 그런 완벽을 추구하는 이유는 우리 사회가 언제나 1등만을 원하고..
1등을 최고로 여기기 때문 이다..
그리고 허점 많고 실수투성의 아이 보다는 매사에 완벽한 일 처리를 하는 아이에게 더욱 너그럽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명한건 이런 완벽함을 추구하려는 것이 결코 우리 아이들의 정신건강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거라는 것이다.

초등3학년 아들녀석은 굉장한 개구쟁이 이다..
개구쟁이의 특성상,덜렁대고,급하고....어수선 하지만 본인의 물건에 대한 정리 집착은 가끔 나를 화 나게도 한다.
예를들어..아무리 바빠도 자신의 닌텐도는 늘 있는 그 상자에 넣어 둬야만 한다.
자다가도 일어나서 정리 하는 정도다..
모든 생활에서 그런 행동을 보인다면 아마도 걱정을 많이 했겠지만 자신이 아끼는 물건에 한해
보이는 행동이라 그다지 큰 걱정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길벗스쿨 어린이 마음 건강 교실 <괜찮아 괜찮아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를
읽고나서는 아이의 행동을 다시 한 번 보게 됐다..
어린이 마음 건강 교실 시리즈는 우리 아이들이 마음속에 품고 있는 여러 걱정들을 소재로 만들어 졌다..
그리고 세번째 책에서는 완벽하려고 하는 친구들에게 이야기 하고 있다.

시작은 어떤 행동을 완벽주의라 하는지?설명 해 주고 있다..
자신의 행동을 비교해보면서 읽어 보면 좋을 것 같다.
아이들의 생활 중 어떤 모습으로 이런 행동이 나타나는지 여러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 을 수 있다.
그리고...그런 친구들에게 어떻게 고쳐 나가야 하는지?어떤 마음가짐을 가지는게 도움이 되는지...알려준다..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말은...[내가 하는 일을 기뻐하며 즐기자]이다...
마음의 병은 결국 마음으로 치유 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괜찮아 괜찮아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실수도 커 가는 과정의 하나라는걸 아이들이 자연스레 받아 들일 수 있도록 도와 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