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귀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처녀귀신 - 조선시대 여인의 한과 복수 키워드 한국문화 6
최기숙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일시품절


우리나라 귀신론을 정립하는 데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쳤던 전설의 고향에 따르면, 귀신으로 인한 사망은 귀신이 직접 사람을 해하는 것보다 느닷없는 등장에 놀라서 죽은 심장마비사가 가장 빈도가 높다. 귀신이 사람에게 손을 대어서 죽은 경우는 거의 드물다. 구미호 정도가 손톱이나 물어 뜯어서 사람을 죽이는 정도.. 믿거나 말거나다. 하.지.만.. 이 책, <처녀귀신>을 보면 그 이론이 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귀신, 특히 처녀귀신은 자신의 등장으로 사람이 죽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다들, 살아 생전에 한 많은 생을 살았고, 자신의 한을 풀어 줄 사람에게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처녀귀신은 왜 그렇게 한이 많을까? <처녀귀신>은 남자귀신과 여자귀신의 등장이유가 분명히 다르다고 언급한다. 남자귀신은 살아생전 미처 마치지 못한 자신의 임무나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등장 한다면, 여자귀신은 사회 전반에 흐르던 남녀 불평등의 문제에서 오는 사회적 피해를 호소하기 위해 등장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 책 <처녀귀신>에는 조선시대를 살아가는 여성의 삶이 얼마나 팍팍한지 설명하는 분량이 적지 않다. 
 


결국, 처녀귀신의 등장은 사회적 억압을 받던 여성들이 자신의 의사를 제대로 전달하는 소통의 부재로 인한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소통은 21세기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중요한 키워드가 되고 있다. 조선시대의 자신들의 입장을 전달할 통로가 없어서 처녀귀신의 모습을 통해 강렬한 임팩트와 함께 메시지를 전달한 것처럼, 이 시대에도 그러한 <처녀귀신>이 필요한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