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쉘위토크>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쉘 위 토크 Shall We Talk - 대립과 갈등에 빠진 한국사회를 향한 고언
인터뷰 지승호& 김미화.김어준.김영희.김혜남.우석훈.장하준.조한혜정.진중권 지음 / 시대의창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 그랬다. 지승호는 책을 참 쉽게 낸다고. 인터뷰 대상자를 정해서 그 사람과 인터뷰를 몇 번 하고는 책 한 권으로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그런 말을 들었기 때문은 아니겠지만, 이 번 책 <쉘 위 토크>는 일부로 말랑말랑 하게 인터뷰를 했다고 지승호씨 스스로 밝힌다. 그러나, 그가 ‘책을 쉽게 낸다’ 라는 말은 절대! 쉽게 동의할 수 없다. 나름 말랑말랑 하다는 <쉘 위 토크>를 읽고 나서 더욱 그런 생각을 굳혔다.  

   이 시대의 화두가 되는 대표적인 지식인 8명 ( 김미화, 김어준, 김영희, 김혜남, 우석훈, 장하준, 조한혜정, 진중권)은 결코 말랑말랑한 사람들이 아니다. 나름의 엄청난 내공과 특유의 까칠함이 있는 인물들이다. 이 들과 <쉘 위 토크>를 했다는 것은 그 들 못지 않은 뿌리가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인터뷰이와 인터뷰어가 서로 적으로서 검을 맞대는 것은 아닐 테지만, 상대방의 검술에 대해 평할 정도의 실력이 필요하다고 비유할 수 있겠다. 지승호씨의 훌륭한 검술로 이 시대의 조금 시크한 8인의 화려한 검법을 즐겁게 감상 할 수 있었다.

   <쉘 위 토크>가 더욱 읽고 싶은 책으로 떠오르는 이유는 8명의 인터뷰이를 고른 탁월한 선구안이다. 이 시대의 올바른 화두와 대안을 제시하는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고, 거의 동일하게 경쟁과 시장만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가지고 있는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거의 빠질 수 없는 이번 정권에 대한 비판이 그들 고유한 영역에서 다양하게 펼쳐졌다. (김미화씨는 상대적으로 약했다.) 나름의 철학과 통찰력과 전문 지식이 달랐기에 앞서거니 뒤서거니 했지만, 전체적인 맥락에서는 2010년 대한민국을 진단할 수 있는 MRI 영상을 본 기분이 들었다.

   그러나,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불안과 공포의 시대로 들어선 대한민국에 대한 뭔가의 해법, 하늘에 닿는 동앗줄 같은 것을 기대했었는데, 시크한 이들은 ‘견뎌라!’ 정도로 말을 아꼈다는 생각이 든다. 개인의 차이는 있지만, 현재의 한국사회는 병이 들었다라고 진단하고 있고, 불안과 공포로 인해 생존의 문제만 다가올 뿐, 타인을 위한 배려나, 삶의 여유에 대해서 생각 할 수 없는 삶으로 고통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런데, 병에 대해 앞으로 차도가 있을지, 가장 좋은 치료약은 무엇인지 명확하게 짚어 주지 않았다. 읽고 속 시원하다라는 느낌이 안 드는 것은 그 때문인 듯 싶다. 하긴, 진중권 교수의 의견처럼 이제는 지식인이라는 존재가 대중을 가르치고, 앞장서서 이끄는 시대가 아니어서 일까? 지도부 없이 대한민국을 들끓게 만들었던 촛불집회 처럼 대중 스스로가 함께 대안을 마련하고 치료해 나가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는 것일까? 이들이 분석하고 ‘씹어댄’ 대한민국은 2013년 2월에 어떻게 바뀌어 있을지, 이 들 8인이 전진 화두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을지 무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