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혁명>을 읽고 리뷰를 남겨주세요.
밥상 혁명 - 세상을 바꾸는 21세기 생존 프로젝트
강양구.강이현 지음 / 살림터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이 책 <밥상혁명>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던 오해를 적어본다.   


  1. 몸에 좋은 음식을 고르는 책인 줄 알았다.
  2. 웰빙 조리법을 소개해주는 책이라고 생각했다.
  3. 더더군다나 내가 인정할 수 밖에 없는 가장 큰 오해는 내가 먹을 밥상은 그냥 한 끼 잘 먹으면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이다. 
 

뭐.. 전반적으로 틀린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밥상혁명> 이 책을 읽으면서 먹을 거리를 선택하는 일은 나의 가치를 보여주는 일이며, 나의 식생활의 뒷면에는 내가 상상하지도 못했던 또 세상의 또 다른 면을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밥상혁명>은 나에게 처음 접해보는 (사실 상당부분 처음 접해 보는 내용들이지만) 개념들을 정말 많이 있었다. 일단, ‘푸드마일’. 식재료가 이동하는 거리. 그 이동하면서 나오게 되는 온실가스와의 관계..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먼 거리를 이동해서 우리 밥상에 오른다면, 지구 온난화를 방조하게 된다는 개념.. 때문에, 공정무역을 통해 들여온 상품도 운송비나 탄소배출권등의 문제등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거다. 몰랐다. 공정무역은 무조건 좋은 개념으로만 생각했었는데..

결국. 신토불이가 가장 바람직한 먹거리의 조건인데, 이미 문제가 드러난 세계경제의 글로벌화를 통해 선진국의 대기업에게 그 모든 이윤이 집중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결국, 이들의 공격적이고 비양심적인 이윤추구 행위로 인해 농민들은 빈곤층으로 전락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고, 결국 광우병과 같은 질병들이 우리들의 삶 속에 침입하는 것이다.

<밥상혁명>에서 주장하는 것은 나의 삶의 터전과 가까운 지역의 농산물을 먹고, 그 농산물을 기르는 농민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며 지역경제를 살리는 방법이야 말로 우리의 밥상을 지키는 일이라고 말한다. 결국, 우리의 삶의 방향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말하는 걸까?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사회, 효율성과 무한 경쟁을 향해 치닫는 우리의 삶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지적한다.

농민이 죽으면, 모두가 죽는다는 경각심, 전 세계의 식량의 1/3은 부자들의 식탁에 오를 스테이크를 위해 소들이 먹는다는 어처구니 없는 사실.. 그 때문에, 전 세계 인구의 1/7인 8억5천만명이 만성 영양실조에서 허덕이고 있다. 이 모든 문제의 해결은 로컬푸드, 신토불이를 추구하는 삶이 그 답이라고 <밥상혁명>은 주장한다.

내가 자주 쓰는 표현 중에 하나이지만, 이 <밥상혁명>에서 다시 한번 적용해 본다. 세상을 알고싶다면, 내 머리에 총 쏜 책<밥상혁명>을 적극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