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한국문화>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정조의 비밀편지 - 국왕의 고뇌와 통치의 기술 키워드 한국문화 2
안대회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서 정치를 이야기 할 때는 자주 표현되는 수식어들이 있다. ‘더러운’, ‘추잡한’, ‘거짓말투성이’ 등등.. 늘 남의 뒷 통수를 치거나 지키지 않을 말들을 밥 먹듯이 하는 것을 정치라고 여기지만, 언젠가부터 조금씩 정치를 ‘읽는’ 눈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눈으로 보여 지고, 귀로 들려지는 그들의 정치적 행동들의 ‘행간’ 사이로 다른 의도들이 내포되고 있다고 느껴지는 것이다. 

  국왕의 치세는 정확히 말하면 정치적 활동이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기록하는 공식적인 문서가 존재한다. 조선시대에는 <승정원일기>나 <조선왕조실록>이라는 엄연한 실록이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 실록을 통해서만 그 시대의 역사와 함께 왕과 신하들의 정치적인 관계를 이해해 왔는데,, 2009년 그 모든 것들의 뒷이야기를 담고 있는 문서가 발견되어 세상을 놀라게 했다. 정조대왕의 편지들의 묶음인 <정조어찰집>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정조어찰집>을 해석한 <정조의 비밀편지>가 새로 나와 조선시대 정치판을 시원하게 들어다 보게 해준다. 
  

  개혁군주로 알려진 정조대왕의 정치적 대척점이라고 볼 수 있는 노론 벽파의 리더 심환지에게 보낸 비밀편지는 발견된 것만 350통이다. 이 편지들에 의하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정조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권모술수가 능하고, 불같은 성질의 소유자에, 워커홀릭에 가까운 국정운영 스타일을 가진 인물이다. 

  드라마에서 보던 아버지의 죽음에 여린 가슴에 상처를 입고 엄한 할아버지 밑에서 기죽어 지내는
모습이나, “송연아,,,!” 라고 낮은 목소리로 사랑하는 사람을 부드럽게 부르는 모습과는 너무나 거리가 멀다. 드라마니까 그렇다 쳐도, 학자풍의 온유한 성품과 문무를 겸한 강단 있고 단아한 모습으로 알려진 것과도 조금은 거리가 있다. 이 모든 것들이 공식적인 기록 문서를 배경으로 상상한 것이라고 볼 때, <정조어찰집>에서 거리낌 없이 자신의 성격을 드러낸 것이 더 정확한 정조의 모습이 아닐까? 자신이 제안한 정책을 오히려 강력하게 반대하라는 내용의 비밀편지를 보내는가 하면, 일일이 문장까지 제시하며 상소를 올리라고 지시하기도 한다. 실록의 내용으로 알려진 정조의 의도가 정반대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자신의 정적인 심환지가 자신을 공격하는 것이 무뎌졌다고 불평하는 편지는 또 뭐란 말인가? 


  리더로서 사람을 다루는 솜씨가 뛰어나다는 것도 보여준다. 속된말로 사람을 밀고 당기는 스킬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일방적인 지시가 아니라, 의견을 묻고, 농담을 하고, 선물을 보낸다. 격식을 갖춘 편지라기보다는 소소하게 담소를 나누는 듯 한 표현도 새롭다. ‘뒤죽박죽’ 이라는 한글 표현이나, ‘별 하나 나 하나’ 라는 민요를 인용한 부분도 그의 권위적이지 않은 성품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내가 느끼기에 최고의 표현은 ‘껄껄’ 웃는 뜻으로 읽혀지는 ‘呵呵’ 라는 표현이다. 디지털 시대의 문자메시지에서 자주 쓰는 ‘ㅋㅋ’과 뭐가 다른가? ㅋㅋ

  <정조의 비밀편지>는 역사의 행간 속에 감춰진 그 알 수 없는 깊이를 맛보게 해주는 면에서 역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준다. 200여년 전의 왕과 신하들의 관계가 이렇듯 복잡한데, 지금이라고 다를 수는 없겠다. 세상이 정치로 돌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이 시대에 눈으로 보여지고 들려지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메시지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