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그들만 부자가 되는가 - 부의 격차를 좁히는 진짜 돈의 모습
필립 바구스.안드레아스 마르크바르트 지음, 배진아 옮김 / 북모먼트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두가 부자를 꿈꾸지만 정작 부자가 될 수 있는 것은 극소수이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부자는 되는 것이 아니라 시작부터 부자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것이 이 책의 요지다.
부자들은 점점 더 부유해지고, 가난한 사람들은 더 가난해지는 빈익빈부익부의 원리를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이 책에서는 그 이유를 화폐 시스템에서 찾는다.

지금까지 학교에서 배운 '화폐' 라는 개념은 편의를 주는 긍정적 개념이었다. 그러나 여기서 '나쁜 화폐' 라는 개념을 새로 알게 되었다.
화폐는 좋은 화폐와 나쁜 화폐로 나눌 수 있는 데, 사람들의 자발적 합의와 경쟁을 거친 화폐는 좋은 화폐이고, 국가주도 아래 만들어 통화량을 국가가 자의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화폐는 나쁜화폐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화폐는 나쁜 화폐라는 말이다.

국가는 화페생산의 독점권을 가지며, 돈은 은행 시스템에서 만들어진다. 일반인이 가진 돈은 이미 탈물질화된 상태이다.
화폐 생산권을 가진 국가는 복지국가를 홍보하며 소요되는 자금을 세금대신 부채를 지는 방식을 택하곤 한다. 세금증액 보다는 국민들이 덜 민감하기 때문이다.
그리고는 통화량을 확장시킨다. 그러면 대출이 늘고 물가상승, 기업 이익의 증대, 임금상승이 오면 온갖 세금도 덩달아 늘면서 국가수입이 늘어나 국가는 부채를 줄일 수 있다.

화폐가 많아져 인플레이션이 오면 돈을 미리 가진 이들은 가격상승 전에 물건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큰 이득을 본다. 이들이 국가, 은행, 대기업 관련자들이다. 반면, 자본을 미리 가지지 못하여 손해보는 이들은 봉급 생활자와 연금 수급자들 같은 일반인들이다.
이렇다보니 늘 '그들만 부자가 된다'
다수의 희생을 대가로 소수는 이익을 취하기에 '국가가 화폐를 다뤄온 역사는 끝없는 기만과 사기의 역사' 라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나쁜 화폐와 복지국가라는 환상이 가정을 붕괴시키고 사람들을 점점 더 종속적, 비자립적, 이기적, 물질적으로 만들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발생하는 경쟁과 스트레스 등의 부작용 들이 생기는 이유이다.
이 책은 막연히 알고 있던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화폐 시스템이라는 구체적인 이유를 들어 설명해 주었다. 대출을 늘리거나 최저임금을 올리는 것, 지원금을 주는 것이 절대 서민들에게 좋은 것만은 아니었다. 물가상승의 쓰나미가 닥칠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도 이 원리를 알고 자본과 힘을 가진 이들은 점점 더 부유해지고 있다.
이 사실에 좀 화가 난다.
이제 우리가 이를 알고 국가와 기득권자들이 화폐독점권을 마음대로 휘두르지 못하도록 잘 관찰하고 감시해야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민주 2025-01-14 05: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시하고 관찰할동안 투자공부 하러 갈려구요 내가 이세상을 바꿀려는 생각은 일찍이 접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