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민주주의 문지기가 소셜미디어로 대체되고 있다. 소셜미디어의 알고리즘과 사용자 참여도를 높게 만들 수 있는 비주류 후보가 더 큰 가능성을 갖는다. 지난 대선, 그리고 또 다가올 대선, 그 현장에 있다.
지금까지 민주주의가 이어지는 동안, 민주주의를 관리한 문지기들이있었다. 정당의 기득권층은 의제를 설정하고 후보에 오를 사람을 선택한다. 언론의 기득권층은 누구에게 방송 시간을 주고 주지 않을지, 누구를용인하고 용인하지 않을지를 제어한다. 기업과 이익 단체는 선거에서 이길자금을 댄다. 소셜미디어는 누구보다 그런 문지기들의 힘을 잠식했다. 이제 정치인은 문지기들을 우회해, 비용 한 푼 들이지 않고 대중을 상대로 자기만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조직을 꾸리고 자금을 모을 제국을 세울 수 있다. 여전히 기득권층이 영향을 미치지만, 좋든 나쁘든 이들이 민주주의를완전히 쥐락펴락하던 시대는 끝났다. 26말할 것도 없이, 실리콘밸리가 하고 싶었던 일이 바로 이것이었다. 2012년에 투자가에게 보낸 편지에서 저커버그는 "선택받은 소수가 통제하는 매개체를 거치지 않고" 사람들이 직접 일제히 목소리를 내게 한다면 "정부가 더 발 빠르게 대응하리라고 봅니다"라고 적었다. "그런데 소셜미디어는 기득권층을 없애기보다 그들을 대체했다. 이제는 소셜미디어의 알고리즘과 유인책이 문지기 역할을 맡아 누가 부상하고 몰락할지를 결정했다. 그런 결정의 근거는 인기가 아니라 사용자 참여도였다. 샤슬로가 유튜브를 분석해 증명했듯이, 사용자 참여도에서는 비주류 후보가 더 뛰어난 성적을 보였다. 어떤 이들은 이 새로운 시대를 ‘사이버 민주주의cyberdemocracy‘라 불렀 다. 2018년 말 프랑스에서는 이런 흐름을 ‘노란 조끼 운동‘이라 불렀다. - P3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