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에 불이 붙으면 재앙이 연못의 물고기까지 미친다.

   城門失火, 殃及池魚(성문실화, 앙급지어)

 

남북조 시대 동위(東魏)의 무장 후경(侯景)은 대승상 고환(高歡)의 아들 고징(高澄)과 사이가 나빠 서위(西魏)로 투항했고, 이에 고징은 한궤(韓軌)를 보내 후경을 토벌했다. 후경은 다시 남방 양나라에 투항했다. 양나라 무제는 소연명(蕭淵明)에게 동위를 정벌하게 했지만 큰 손실을 입고 패했다. 동위의 장군 두필(杜弼)은 양나라에 격문을 보내 후경이란 소인배는 기회만 있으면 평지풍파를 일으킨다. 이 때문에 초나라 원숭이가 도망치자 재앙이 숲속 나무에 미쳤고 송나라 성문에 불이 나자 연못의 물고기까지 재앙을 만났듯, 장차 장강과 회하 유역, 형주와 양주 일대의 관리와 백성이 무고하게 전쟁의 고통에 빠질 것이 두렵다.라고 경고했다. 과연 후경은 반란을 일으켰고, 양나라는 몇 년에 걸친 전란에 엄청난 고통을 겪다 결국은 나라까지 망했다. 이 말은 지어지앙’(池魚之殃)이라고 줄여 말하기도 하는데, 아무런 까닭 없이 어떤 일에 연루되어 재앙이나 큰 손실을 입는 것을 비유한다.

 

전북제문全北齊文 위동위격량문爲東魏檄梁文

 

 

 

 

 

중국사의 오늘 :

1064127(북송 영종 치평 원년 10월 무오)

요나라가 민간에서 사사로이 책을 인쇄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당시 인쇄술이 이미 요나라에까지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