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 않으면 그만이지만 하려면 철저히 하라.
一不做, 二不休(일부주, 이불휴)
당나라 때 사람 조원일(趙元一)이 편찬한 『봉천록』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755년 안녹산의 난 때의 일이다. 안녹산이 난을 일으키자 조정에서는 반란 진압군을 급파했다. 첫 전투에서 대장 왕사례(王思禮)는 하마터면 화살에 맞아 죽을 뻔했다. 이 위기상황에서 왕사례를 구한 사람은 장광성(張光晟)이었다. 왕사례는 그 은혜를 잊지 않고 장광성을 군정에 추천했고, 장광성은 승진을 거듭했다. 그 뒤 장광성은 반란군의 우두머리 주차(朱泚)의 부장이 되었고, 주차가 황제로 자청하면서 재상까지 올라갔다. 하지만 반군은 이성(李晟)이 이끄는 정부군의 압박을 받아 와해될 위기에 놓였다. 이에 장광성은 몰래 이성에게 사람을 보내 투항 의사를 밝혔다. 이성은 사면을 조건으로 장광성의 투항을 받아들였다. 하지만 황제 덕종은 장광성을 반역을 용서하지 않고 처형하라고 명령했다. 처형에 앞서 장광성은 “후세에 한마디 하노라. 첫째, 하지 마라! 둘째, 그래도 하겠다면 멈추지 마라.”라며 원통해했다. 반역자 장광성의 분한 마음이 담긴 말이지만, 무슨 일이든 하려면 제대로 하라는 뜻의 성어로 압축되었다.
『봉천록』(奉天錄)
중국사의 오늘:
1155년 11월 18일(남송 고종 소흥 25년 10월 병신)
간신 진회가 66세로 죽었다(1090년생). 훗날 사람들은 악비의 무덤 앞에 무릎을 꿇고 사죄하는 상을 만들어 그 간행을 단죄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1116/pimg_720298193924906.jpg)
* 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