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의 울타리 아래에 의지하다.

  寄人籬下(기인이하)

 

남제 시대에 장융(張融)이란 지식인이 있었다. 키도 작고 못 생긴 데다 성격까지 괴팍하여 늘 사람들이 수군거리는 대상이 되었지만 그는 아랑곳하지 않았다. 소도성(蕭道成)은 황제가 되기 전부터 장융과 친하게 지냈는데 그의 재능을 누구보다 인정했다. 소도성은 그 뒤 남제 정권을 세워 황제가 되었지만 장융과는 격 없이 잘 지냈다. 장융 또한 거침없이 황제 앞에서 바른말을 했다. 두 사람은 황제와 신하라는 벽을 허물고 수시로 시국과 학문과 예술에 관해 토론했다. 한번은 소도성이 장융의 글씨를 왕희지(王羲之), 왕헌지(王獻之) 부자와 비교하며 그가 조금 부족한 것 같다고 비평했다. 그러자 장융은 그 두 사람이 자기보다 부족하다고 해야지 옳지 않겠느냐고 응수했다. 소도성은 크게 웃으며 다시는 비교하지 않았다. 장융은 글을 짓는 데 늘 자신의 스타일을 강하게 보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사내대장부라면 공자가 ()‧『()를 편찬하고 예악(禮樂)을 제정했듯 자기만의 독특한 개성을 창조해야지 남을 따라 마치 참새처럼 다른 사람의 울타리 아래 빌붙어야 하겠는가.”라고 했다. 여기서 개성 없이 남을 따라하거나 의지한다는 기인이하라는 성어가 비롯되었다.

 

남사(南史) 장융전(張融傳)

 

 

 

 

 

중국사의 오늘 :

11021030(북송 휘종 숭녕 원년 9월 기해)

송 왕조에서 원우간당비(元祐奸黨碑)를 단예문(端禮門) 앞에 세웠다. 간신 채경이 집권함으로써 자신의 정적들을 간신으로 몰아 그 명단을 비석에 새기고 그 가족들까지 박해를 가했다.

 

* 원우간당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