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다녀갔던 유랑이 또 왔네.

   前度劉郞(전도유랑)

 

당나라 순종(順宗)805년 유종원(柳宗元), 유우석(劉禹錫) 등을 전격 기용하여 이른바 영정(永貞) 혁신으로 불리는 개혁 정치에 시동을 걸었다. 그러나 환관 세력의 저항은 의외로 막강하여 순종이 황제 자리에서 쫓겨나고 개혁 인사들은 죄다 지방으로 쫓겨났다. 10년 뒤 다시 수도로 돌아온 유우석은 명승지 현도관(玄都觀)을 찾아 현도관에 심어진 흐드러진 복숭아나무는 모두 유랑(유우석)이 떠난 뒤에 심은 것들이라네라며 지난 10년을 회고했다. 그런데 권력을 진 소인배들은 이 시가 자신들을 풍자한 것이라 트집 잡아 유우석을 다시 강주(江州)로 좌천시켰다. 그로부터 14년 뒤 다시 현도관을 찾은 유우석은 복숭아나무는 다 어디 가고 풀만 무성하구나. 복숭아나무 심던 도사는 어디로 갔나, 지난번 다녀갔던 유랑이 다시 왔는데라는 시를 남겼다. ‘전도유랑은 다녀갔다가 다시 온 사람을 비유하는 시 구절이지만, 유우석의 강렬한 전투 정신이 묻어난다. 아무리 박해를 가해도 마지막에 웃는 사람은 나 유우석이라는 자부심도 함께 배어 있다.

 

재유현도관(再遊玄都觀)

 

* 유우석

 

 

 

 

 

 

중국사의 오늘 :

19111010

무창기의(武昌起義)가 폭발했다. 아편전쟁 이래 제국주의 세력이 중국을 식민지화하고, 청 왕조가 서양인의 조정으로 전락하자 중국 민중은 반봉건반제국주의 기치를 내걸고 혁명 투쟁에 나섰다. 무창기의는 신해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