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 흘리는 말

   汗馬(한마)

 

한마는 두 가지 뜻을 가진 단어이다. 하나는 한혈마’(汗血馬), 즉 땀을 피처럼 흘리는 말이란 뜻이다. 한나라 무제 때 이사장군(貳師將軍) 이광리(李廣利)가 서역에 위치한 대완(大宛)이란 나라의 국왕의 목을 베고 한혈마를 한 필 얻어 돌아왔다. 이 대목에 대한 주석에는 이런 내용이 보인다. “대완에 좋은 말이 있는데 땀을 앞쪽 어깨 쪽에서 흘리는데 색이 피 같았다. 이 말은 하루에 천 리를 달리는 준마다.” 이후 시나 문장에서 한마는 준마를 일컫는 단어가 되었다. 또 하나는 전투에서 세운 공로나 작전을 비유하는 단어로 사용되는 경우다. 한비자(韓非子) 오두(五蠹)에 보면 집안일은 잊은 채 나라를 위해 한마의 수고를 다해야 한다는 구절이 보인다. 전투에 나간 말이 땀 흘리며 전투에 참여하듯 그런 수고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한마지로’(汗馬之勞)라는 성어가 파생되었다. 공직자와 무인이 나라와 백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을 이를 때 한마지로라는 표현을 많이 쓰며, 그렇게 해서 세운 공을 한마공로’(汗馬功勞)라고 한다.

 

한서(漢書) 무제기(武帝紀)

 

 

* 한혈마

 

 

 

 

 

중국사의 오늘 :

962102(북송 태조 건융 39월 병진)

송 태조 조광윤이 과거 급제가가 과거 시험 감독관인 지거관(知擧官)에게 사례하는 것을 금하라는 조서를 내렸다. 과거에서 응시자와 시험관 사이에 좌주(座主)니 문생(門生)이니 하는 부정한 관계가 형성되어 과거에 대한 공신력을 의심받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