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렇지 않게 멋대로 말을 바꾸다.

   信口雌黃(신구자황)

 

위진 시대는 문벌을 중시하는 풍토가 판을 쳤다. 명문가 출신의 왕연(王衍)은 총명하기가 따를 사람이 없을 정도였지만 자기 멋대로 하는 성격인 데다 자신의 이익밖에 몰랐고, 논리에 모순이 많다는 지적을 받으면 그 자리에서 말을 바꾸었다. 왕연은 태자에게 딸을 시집보낸 후 태자가 모함에 빠지자 황제에게 간청하여 딸을 이혼시켰다. 훗날 태자의 억울함은 풀렸지만 태자는 충격으로 정신이상이 되었다. 서진 궁중의 내란 때 왕연은 거듭 권세가에 빌붙어 고관대작에 올라 부귀영화를 추구했다. 서진이 망했을 때는 자신은 조정 일에 간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책임이 없다고 시치미를 뗐지만 죽음을 면치는 못했다. 당시 사람들은 이런 왕연을 두고 신구자황이라고 평했다. ‘자황은 황적색의 광물이다. 당시에는 황지(黃紙)라는 종이에 글을 썼는데 글자를 잘못 쓰면 자황으로 만든 안료를 칠해 글자를 지우고 다시 썼다. ‘신구자황은 사실 관계는 확인도 않고 마구 헛소리를 내뱉거나 수시로 말을 바꾸는 것을 비유하는 흥미로운 성어이다. 요즘 이런 자들이 우리 주위에 넘쳐 난다.

 

문선(文選)에 인용된 손성(孫盛)진양추(晉陽秋)

 

 

 

 

중국사의 오늘 :

745917

당 현종이 양태진(楊太眞)을 귀비에 책봉했다. 당나라 현종과 함께 전성기의 당나라를 추락시키는 데 큰 작용을 한 그 양 귀비이다.

 

* 양귀비출욕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