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을 지적받으면 그 자리에서 기뻐하다.

   聞過則喜(문과즉희)

 

공자의 수제자 가운데 자로(子路)는 개성이 남달랐다. 욱하는 성질 때문에 스승에게 늘 질책을 받았고, 끝내는 그 성질 때문에 제명에 죽지 못했다. 하지만 공자 곁을 지키면서 바른말을 서슴지 않았다. 그가 스승 앞에서도 당당하게 자신의 소신과 생각을 밝힐 수 있었던 것은 그 자신의 수양 정도와 관계가 깊다. 맹자는 정리했다. 맹자는 자신의 학생과 함께 타인의 비평과 질책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하는 문제를 토론하던 중 자로의 이런 면을 두고 누구든지 (자로의) 잘못을 말해 주면 바로 기뻐했다는 말로 자로를 높이 평가했다. 맹자는 그러면서 고대 전설 속 제왕인 우()와 순()의 미덕을 함께 거론하여 자로의 이런 자세를 한층 높이 끌어올렸다. 자신의 잘못을 지적하는 말을 들으면 대개는 기분이 상하고 상대가 미워진다. 하지만 이 단계를 넘어서야만 자신이 하는 일을 제대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 사회에 유익한 사람이 될 수 있다. 허심탄회(虛心坦懷)하게 충고를 받아들이는 자기수양은 그 어떤 미덕보다 큰 미덕이 될 수 있다.

 

맹자(孟子) 공손추 상(公孫丑上)

 

 

* 자로

 

 

 

 

 

 

중국사의 오늘 :

736914(당 현종 개원 248월 임자)

현종의 생일을 맞이하여 신하들이 귀한 거울을 축하 선물로 올리자, 재상 장구령(張九齡)은 거울로 자신의 모습을 비춰 보길 바라는 의미에서 과거의 흥망성쇠를 5권의 책으로 정리한 천추금경록(千秋金鏡錄)을 생일 축하 선물로 올렸다.

 

 

* 장구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