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를 막고 종을 훔치다.

   掩耳盜鈴(엄이도령)

 

춘추 시대 말기 산서성 일대의 큰 제후국 진()은 공실의 권위가 무너져 여섯 집안이 권력을 나누어 가지면서 대립하는 국면이 전개되고 있었다. 기원전 491년 범씨(范氏)와 중항씨(中行氏) 집안이 나머지 네 집안의 공격을 받아 멸망했다. 범씨 집안사람들은 이 와중에 죽거나 뿔뿔이 흩어져 집안에는 아무도 남지 않았다. 어느 날 누군가 텅 빈 범씨 집에 들어와 큰 종을 하나 발견했다. 가져가서 녹여 다른 공구를 만들면 딱 좋을 것 같았다. 종이 너무 무거워 들고 갈 수 없자 이자는 종을 부수어 가져가기로 작정하고 망치로 종을 때렸다. 순간 큰 종소리에 깜짝 놀라 자신의 귀를 막았다. 귀를 막으니 소리가 자연히 작게 들릴 수밖에. 이자는 귀를 막고 종을 깨면 되겠다 싶어 귀를 막은 채 큰 망치로 마구 종을 때렸다. 온 동네로 종소리가 울려 퍼졌음은 말할 것 없다. 이 성어는 원래 도종엄이’(盜鐘掩耳)로 썼으나 후대에 엄이도령으로도 바뀌었다. 어리석은 자가 자신의 짓거리를 감추려는 자기기만을 비꼬는 성어이다. 뻔한 거짓말을 천연덕스럽게 해 대는 자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절묘한 비유가 아닐 수 없다.

 

여씨춘추』 「불구론자지(不苟論自知)

 

 

 

 

 

중국사의 오늘 :

71496(당 현종 개원 27월 무신)

당 현종이 조서를 내려 관리가 승려, 비구니, 도사와 왕래하는 것을 엄격하게 금하라고 했다. 종교인이 권력가와 결탁하여 정치에 간여하고 심지어 정변 음모에 참여하는 등 폐단이 만만치 않았다.

 

* 당 현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