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자의 굴뚝은 시커멓지가 않다.

   墨突不黔(묵돌불검)

 

한서(漢書)를 편찬한 반고(班固)의 글에 나오는 성어로서 풀이만으로는 이해가 가지 않는다. 묵자(墨子)가 머무는 집의 굴뚝은 불을 때서 연기 때문에 생기는 검댕이가 없다는 것인데, 말하자면 아궁이에 불을 때지 않았기 때문에 굴뚝이 그을리지 않았다는 뜻이다. 묵자가 하도 바쁘게 돌아다는 통에 집에 붙어 있는 날이 없었기 때문이란다. 이와 대구를 이루는 말로 공석불난’(孔席不暖)이 함께 나온다. 공자(孔子)의 자리는 따뜻할 날이 없다는 뜻이다. 자리에 진득이 앉아 있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묵자나 공자 모두 천하를 떠돌며 자신의 사상과 철학을 전파하려 애를 쓴 사람들이다. 바쁘게 돌아다니는 모습을 과장해서 표현한 말이지만 한편으로는 꽤 씁쓸한 성어이기도 하다. 그만큼 묵자나 공자의 마음을 세상이 헤아려 주지 못했다는 반증이 아니겠는가? 지금 우리 사회에 이런 지식인이 적지 않은 것 같다. 세상이 어지럽기 때문이다.

 

답빈희(答賓戱)

 

* 묵자

 

 

 

* 공자

 

 

 

 

 

 

중국사의 오늘 :

652831(당 고종 영휘 37월 정축)

고종이 호부에 전년도 호구 증가의 상황을 파악할 것을 하문했다. 호부상서는 전년에 호구수가 15만 증가하여 이해 총 380만 호라고 보고했다. 이 수치는 수나라 개황 연간의 870만 호의 절반에 지나지 않았다. 당나라 초기 경제와 호구가 수나라 전성기의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음을 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