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명한 군주는 늘 자신의 부족함을 생각하기에 갈수록 나아진다.

   明主思短而益善(명주사단이익선)

 

정관정요(貞觀政要)는 당나라 태종 때 오긍(吳兢)이 태종과 당시 대신들 사이에 오고 간 치국의 이치를 정리한 명저이다. 그중 바른 말을 구한다는 뜻의 구간(求諫)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영명한 군주는 늘 자신의 부족함을 생각하기에 갈수록 나아지고, 못난 군주는 자신의 단점을 감싸려 하기에 갈수록 어리석어진다. 수 양제는 자기를 과시하길 좋아하고 단점을 감추고 바른 말을 물리쳤다.”

 

당 태종 이세민(李世民)은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 혼자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몹시 잘 알았다. 충성스럽고 정직한 신하들의 보좌 없이는 백성과 나라가 편해질 수 없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고 바른 말을 받아들이는’ ‘납간’(納諫)을 극히 중시했다. 단점을 생각하느냐 아니면 단점을 감추느냐가 지혜와 어리석음을 나누는 경계선이라는 지적이다. 리더만 잘나서도 안 되고, 특히 리더가 잘난 척해서는 더더욱 안 된다. 잘난 사람을 알고 모셔 오는 리더가 최선의 리더인 세상이다.

 

정관정요(貞觀政要) 구간(求諫)

 

 

 

 

 

중국사의 오늘 :

475725(북위 효문제 연흥 56월 경오)

소와 말에 대한 도살을 금지했다. 북위가 북방에 있을 때는 목축을 위주로 하여 소와 말이 많았다. 그래서 도살이 별 문제가 아니었지만 중원으로 들어와 농업을 중시하면서 소와 말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