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의 쇠퇴는 공직자의 부당한 행위 때문이다.

   國家之敗, 由官邪也(국가지패, 유관사야)

 

좌전환공(桓公) 2년인 기원전 710년 조항을 보면 나라의 쇠퇴(패망)는 공직자의 사악함(부당한 행위) 때문이며” “공직자가 덕을 잃는 것은 (상관의) 총애와 뇌물을 탐하는 데서 드러난다라는 대목이 있다. 여기서 공직자의 부당한 행위를 표현하는 官邪’(관사)는 정치적 각도에서뿐만 아니라 경제상의 탐욕, 즉 불법을 눈감아 주는 대가로 받는 부정한 뇌물이 당연히 포함된다. 또 공직자의 자세도 함께 지적하는 말인데,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를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대충 처리하거나 마냥 미루는 무사안일(無事安逸)의 근무 태만이 그것이다. 그러면서 모든 촉각을 자신의 상관을 향해 뻗친 채 비위 맞추기와 아부로 일관한다. 우리의 공직자들이 어떤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지 이 대목에 대입시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다. 좌전을 쓴 사관은 나라의 존망과 안위를 가늠하는 잣대로 공직자의 처신을 강조한 것이다.

 

좌전

 

 

 

 

 

중국사의 오늘 :

355710(동진 목제 영화 116월 을유)

전진(前秦)의 황제 부견(苻堅)39세로 세상을 떴다(317년생). 350년 장안(長安)을 점령하는 등 관중 지역에 전진 왕조의 기틀을 닦은 부견이 재위 5년 만에 죽음으로써 전진의 국세는 크게 기울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