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든 사람 또는 서른두 살

   二毛(이모)

 

쉬운 두 글자로 된 단어이지만 옛 기록들에는 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흥미롭다. 먼저 좌전희공(僖公) 22(기원전 638)에 기록된 홍수(泓水) 전투에서 송 양공(襄公)군자는 상처 입은 사람을 다시 다치게 하지 않으며, 머리가 반백인 사람을 사로잡지 않는다라고 했다. 양공이 말한 머리가 반백인 나이의 노인을 이모’(二毛)라 한다. 검은 머리카락과 흰 머리카락이 반반이란 뜻에서 이모라고 한 것 같다.

 

한편, 중국 역대 최고 미남자로 꼽히는 반악(潘岳)이 쓴 추흥부(秋興賦)에는 서른두 살에 처음 흰 머리카락 두 올을 보았네라고 하여 글자 그대로 머리카락 두 올이란 뜻으로 사용되었다. 머리카락 두 올’, 이모가 후대에 와서 나이 서른둘을 가리키는 용어가 되었다. 평균 수명을 고려할 때 천 수백 년 전 남자 나이 서른둘이면 흰 머리카락이 날 만도 했다. 반악은 서른둘에 흰 머리카락이 생겼다며 회한 어린 심경의 일단을 내비쳤지만 말이다. 아무튼 이 단어에서 이모지년’(二毛之年), 서른두 살의 나이란 표현도 파생되었다.

 

좌전

 

 

 

 

 

중국사의 오늘 :

58571(수 문제 개황 55월 갑신)

수 문제가 장손평의 건의를 받아들여 군현에 의창(義倉)을 설치하라는 조서를 내렸다. 의창은 흉년과 재난을 대비하여 빈부에 따라 차등 있게 곡식을 거두어 비축하는 역할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