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질러진 물은 주워 담기 어렵다.

   覆水難收(복수난수)

 

워낙 유명한 구절이고, 수많은 사람들이 인용하거나 변형해서 사용했지만 고사의 기원은 강태공과 그 아내이다. 강태공은 집안 살림은 도외시한 채 늘 책만 읽었다. 고생을 견디다 못한 아내 마씨(馬氏)가 친정으로 가 버렸다. 말하자면 이혼을 한 셈이다. 그 뒤 강태공은 주 문왕을 만나 문왕의 스승이 되고 이어 무왕을 도와 주나라 건국의 1등 공신이 되었다. 무왕은 강태공을 제나라에 봉했다. 남편의 출세에 마씨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느냐고 했고, 강태공은 물을 한 바가지 떠서 땅에 뿌리고는 한번 엎질러진 물은 주워 담을 수 없다며 야멸차게 아내를 내쳤다. 흔히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복수불반(覆水不返)으로 많이 쓴다. 이미 정해져 되돌리기 힘든 경우나 헤어진 부부가 다시 합치기 어렵다는 뜻으로 많이 쓴다.

 

후한서』 「하진전(何進傳), 야객총서(野客叢書)

 

 

 

 

 

중국사의 오늘 :

527424(남조 양 무제 대통 원년 3월 신미)

남북조 시대 남조의 양()나라 무제가 대사찰 동태사(同泰寺)에 자신을 몸을 공양하는 사신공양(捨身供養)을 했다. 무제는 재위 기간에 네 번이나 사신공양을 시행했는데 조정에서는 그때마다 엄청난 돈을 국고에서 빼서 절에 바치고 황제를 조정으로 모셔왔다(네 차례에 총 3억 전이 들었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