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가 제대로 안 되면 가시를 목구멍에 쑤셔 넣은 것 같다.

   作文勉强爲, 荊棘塞喉齒(작문면강위, 형극새후치)

 

청나라 초기의 문인 정섭(靜攝)은 판교(板橋)라는 호로 더 알려진 사람이다. 백성을 사랑하는 관리였고, 시와 글과 그림 모두를 잘해 삼절’(三絶)로도 불렸다. 또 양주(揚州) 지방을 중심으로 자유분방하게 예술 활동을 펼쳤던 괴짜들의 대명사 양주팔괴(揚州八怪)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그런가 하면 호도학(糊塗學)이란 기발한 학문 분야를 개척하기도 했는데, 멍청이 학문이란 뜻이다. ‘호도란 애매모호하게 대충 덮어둔다는 뜻이다. 이런 식으로 삶을 대충 멍청하게 살자는 주장인데, 실제로 그렇게 살았다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분위기에 소극적으로 저항하는 한 방식으로 보면 되겠다. 그의 삶은 누구보다 치열했기 때문이다. 이 시 구절도 그렇다. 생각이 제대로 나지 않아 글이 잘 써지지 않을 때를 정섭은 목구멍에 가시가 걸린 것 같다고 표현하고 있다. 그가 창작에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지 잘 보여 준다. “창문 밖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소리가 백성들 신음소리처럼 들린다는 시를 남긴 이도 바로 정섭이다.

 

증호천유제(贈胡天游弟)

 

 

* 도판은 정섭.

 

 

 

 

 

중국사의 오늘 :

610331(수 양제 대업 63월 계해)

수 양제가 다시 강도(江都, 지금의 강소성 양주揚州)로 놀러 나가면서 왕세충을 강도경감에 임명하고 강도궁을 더욱더 치장했다. 양제의 방탕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이 점점 도를 더해 가고 있었다.

 

 

* 도판은 수 양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