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기는 쉬울지 몰라도 좋아하기란 어렵다.

   學易而好難(학이이호난)

 

명 말 청 초의 혁신 사상가 선산(船山) 왕부지(王夫之)는 배움과 실천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배우기는 쉬울지 몰라도 좋아하기란 어렵고, 행하기는 쉬울지 몰라도 꾸준히 하는 것은 어렵고, 부끄러움을 느끼기는 쉬워도 왜 부끄러운가를 알기란 어렵다.”(學易而好難, 行易而力難, 恥易而知難[학이이호난, 행이이역난, 치이이지난])

 

이것이 바로 호학(好學), 역행(力行), 지치(知恥) 3자의 관계인데, 왕부지는 그중에서도 지치를 특별히 강조했다. 공직자들의 인사 청문회를 보면서 과연 저들이 백성의 쏟아지는 비판과 비난이 무엇 때문인지 알고나 있는지 의심이 들었는데, 왕부지의 이 말을 접하는 순간 깨닫는 바가 있었다. 저들은 부끄러워할 줄만 알았지 왜 부끄러운지 모르는 것이다. 그러고도 고관대작 자리를 탐을 낸다.

 

 사해俟解

 

 

* 도판은 왕부지와 그의 저서 가운데 하나인 악몽(噩夢)

 

 

 

 

 

중국사의 오늘 :

1973215

미국의 대통령 국가안전기구 보좌관 키신저가 중국을 방문했다. 19일까지 공식 일정을 마치고, 22일에 가까운 시일 안에 쌍방이 수도에 연락처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의 장막이 열리는 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