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뱉은 말은 네 마리가 끄는 수레로도 따라잡기 어렵다.
一言出口, 駟馬難追(일언출구, 사마난추)
‘발 없는 말이 천 리 간다’는 우리 속담을 떠올리게 하는 이 속담은 『논어』 「안연」의 “자공이 말하길, 안타깝구나, 이 사람의 군자에 대한 말씀이. 네 필의 말이 끄는 마차도 혀를 따라잡지 못한다고 했소”라는 대목 중 뒷부분 ‘네 필의 말이 끄는 마차도 혀를 따라잡지 못한다(駟不及舌)’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송나라 때의 정치가 구양수(歐陽脩)도 「‘사불급설’론」에서 이 속담을 인용하고 그 어원이 『논어』에 있다면서 속담의 말이 참 맞는 말이라 했다.
어느 쪽이든 한번 뱉은 말은 다시 주워 담기 어려우니 말조심하라는 뜻이다.
여기서 “한번 나온 말은 흰색으로 검은색을 물들이려는 것과 같다”(명나라 때 심채沈采의 『천금기』千金記)는 말이나 “한번 나온 말은 금이나 옥으로도 바꿀 수 없다”는 등등의 말도 파생되어 나왔다.
자고로 말조심하라는 속담이나 격언은 수없이 그리고 끊임없이 나왔건만 말(글) 때문에 남에게 피해를 주고 자신의 신세를 망치는 일 또한 끊임없이 발생하는 걸 보니 혀를 제대로 간수하는 일이 정말 어려운가 보다.
속담

* 도판은 자공.
중국사의 오늘 :
1983년 2월 10일
『공인일보』(工人日報)가 황하에 대한 새로운 측량 수치를 보도했다. 유역 면적은 752,443㎢(과거 737,679㎢), 길이는 5,464km(과거 4,845km)에 황하가 지나는 유역의 성으로 사천성이 추가되었다.

* 도판은 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