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한 겉모습과 내재된 인품이 어울리지 않으면 반드시 나쁜 결과가 나온다.

   服美不稱, 必以惡終(복미불칭 필이악종)

 

춘추 시대 제나라 경봉(慶封)이란 자가 사신으로 왔는데 그 수레가 화려했다. 맹손(孟孫)이 숙손(叔孫)에게 경봉의 수레가 별나게 화려하지 않은가라고 하자 숙손은 복장과 인품이 어울리지 않으면 끝이 좋지 않은 법인데 하물며 화려한 수레야……라고 했다.

 

사람은 정신적 수양이 공부에 앞서야 한다. 그래서 덕성(德性)은 내면에서 움직이고, 의례(儀禮)는 밖에서 움직여야만 군자의 기질과 풍모를 드러낼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외모와 내면의 품성이 완전히 일치할 수는 없지만, 지나친 외모 지상주의가 내면의 정신적 경지를 좀먹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젊은이들은 무용한 스펙 쌓기에 열중하고, 기성세대들은 진퇴의 기로에서 방황하면서 물질은 물론 정신적 허영을 극단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것이 지금 우리의 모습이다. 이러면 나라가 병이 든다.

 

좌전(左傳) 양공(襄公) 27년조

 

 

 

 

 

중국사의 오늘 :

24925(삼국 위 가평 원년 정월 갑오)

대장군 조상(曹爽) 등이 명제 조예의 무덤으로 간 틈을 타서 이날 사마의(司馬懿)가 정변을 일으켰다. 사마의는 조상을 비롯한 자신의 정적을 모조리 죽이고 실권을 장악함으로써 그 손자 사마염(司馬炎)이 위나라를 멸망시키고 서진(西晉) 왕조를 여는 터를 닦았다.

 

 

 

* 도판 위는 사마의, 아래는 사마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