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봉이 보리를 떠내려 보내다.

   高鳳流麥(고봉유맥)

 

동한 시대 사람인 고봉은 젊은 날부터 독서를 너무 좋아했다. 그의 집은 농사를 지으며 살았으나 그는 공부를 고집하여 밤낮으로 책에 파묻혀 살았다. 하루는 고봉의 아내가 일을 하러 나가면서 마당에 말리고 있던 보리를 닭들이 쪼아 먹지 않도록 잘 좀 보라고 당부했다. 고봉은 닭을 쫓는 작대기를 들고 아내의 당부에 그러겠노라 대답했다. 아내가 나가자 고봉은 바로 책을 꺼내 들고는 책 속에 빠졌다. 언제부터인가 하늘에서 비가 쏟아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고봉은 닭을 쫓는 작대기를 든 채 책을 읽느라 보리가 빗물에 다 떠내려가는 것도 몰랐다.

보리가 떠내려간다는 뜻의 流麥’(유맥)은 훗날 麥流’(맥류), ‘棄麥’(기맥, 보리를 버리다), ‘ 麥不收’(맥불수, 보리를 거두지 못하다), ‘中庭麥’(중정맥, 뜰의 보리) 등 다양하게 변용되어 마음을 다하여 책을 읽거나 공부하는 모습을 나타내게 되었다. 고봉까지는 못 되더라도 우리 사회에 독서향이 많이 풍겼으면 좋겠다.

 

후한서83 일민전고봉(逸民傳高鳳)

 

 

 

 

중국사의 오늘 :

649112(당 태종 정관 2212월 경오)

대자은사(大慈恩寺)가 완공되었다. 자은사는 당나라 태종 당시 태자 이치가 어머니 장손황후의 복을 빌기 위해 세운 장안 최대 사찰이었다. 이 절의 중심인 탑을 태자은사탑이라 불렀는데, 지금은 탑의 모습이 큰기러기 같다고 해서 대안탑’(大雁塔)이라 부른다. 최근 이 절 주위는 불야성(不夜城)이란 문화거리가 형성되어 서안의 중심지로 탈바꿈하고 있다.

 

* 도판은 서안의 대자은사탑(오늘날의 대안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