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회의는 과거의 일본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은 절대적으로 선한나라라고 우긴다. 그들의 논리에 따르면 일본은 운이 나빠 미국에 패했기 때문에 전범국가로 낙인찍혔을 뿐이다. 제1차 세계대전 후의 독일인들이 가졌던 생각을 그들도 갖고 있고 이런 생각은 일본에 만연되어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같은 맥락에서 일본회의는 일본이 보통 국가가 되어 정식 군대를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일본이 정식 군대를 갖지 못하는 이유를 과거 일본이 침략 국가였다는 루머‘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에게 ‘일본은 침략 국가였다는 명제는 좌파 세력이 만들어낸 새빨간거짓말일 뿐이다. 일본은 침략 전쟁을 벌인 것이 아니라 백인 지배로부터 아시아를 해방시키는 해방 전쟁을 일으킨 것뿐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위안부나 난징 대학살과 같은 역사적 사실도 부정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회의가 주장하는 ‘보수의 논리‘란 무엇일까? 먼저, 그들은 1945년 이전의 대일본제국을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국가로 본다.
그들의 공식 기관지 『일본의 숨결』(日本の息吹)에서도 과거 태평양 전쟁을 벌였을 때가 일본에게는 가장 좋은 시절이었다고 밝혀왔다. 따라서 그들은 일왕을 1945년 이전처럼 절대 권력을 가진 국가 원수로 추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일왕은 일본 국민의 통합의 상징일 뿐정치적인 실권이 없다. 하지만 일본회의는 메이지시대의 천황(일왕)제를 부활시켜 대일본제국을 재건해 국가주의 시대로 복귀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그들의 사상이 반영되어 자민당의 개정 헌법안 제1조에는일왕이 국가 원수라고 기재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런데 현창식의 문제점은 전사자들의 침략 행위까지 모두 미화한다는 데 있다. 이런 야스쿠니 신사의 의식에서 일본의 침략 전쟁과 식민 지배로 희생된 타국, 타민족에 대한 반성이나 사죄의 정신은 전혀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침략과 식민 지배 행위를 미화하고 정당화한다. 이것은 일본 극우파들의 정신세계와 완전히 일치하는 내용이다.
야스쿠니 신사에 있어 전범이라는 개념은 없다. 그래서 일본 총리나 각료들이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다는 것은 과거 일본의 침략 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자랑스러운 행위로 미화하는 것과 똑같다. 야스쿠니 신사참배에는 침략 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긍정하여 옛 대일본제국을 다시 부활해도 좋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런 점이 야스쿠니 신사참배의 가장 큰 위험성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스쿠니 신사의 본질적인 문제점은 신사의 종교의식에 있다.
야스쿠니 신사에서 행해지는 종교의식 중에 초혼식에 대해 알아보자.
일본의 토착신앙 신도(神道)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이 죽은 자리에 그대로 머물러 있다고 가르친다. 그래서 그렇게 믿는 일본인들이많다. 신도는 전생이나 내세가 없고 현세에서의 성공을 중심으로 여기는 기복 신앙이 교리의 중심인데 영혼의 존재를 인정한다. 그리고 죽은영혼들이 죽은 자리에 남는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니 아시아를 침략하면서 중국이나 러시아, 동남아 등지에서 전사한 영혼들은 그 지역에 머물러 있다. 그러므로 일본 전사자들의 영혼을 야스쿠니 신사로 불러들이는 초혼(招魂) 의식을 거행하는 것이다.
그다음 그 영혼들을 위로하는 위령제를 실시하고, 이어서 현창식이라는 의식을 거행한다. 현창(顯彰)이란 전사자들의 생전 행위를 칭찬하고 미화하여 정당화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말하자면 전사자들의 자랑스러운 희생으로 말미암아 지금의 일본이 있게 되었다고 선언하는것이다. 현창식의 목적은 전사자의 영혼을 충분히 만족시켜 죽음으로인한 원한을 풀어주는 데 있다. 원령을 선하고 훌륭한 영혼으로 바꾸는 의식이 위령제와 현창식이다. 이렇게 원령을 선한 영혼으로 바꿔야만이 그들을 신으로 승격시킬 수 있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