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춤 겨레 전통 도감 5
조현 지음, 홍영우 그림 / 보리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겨레 전통 도감 - 탈춤

 

미술 시간에 신문지 찢어 불려 탈을 만들었던 기억이 난다.

그때 다양한 모양의 탈을 만들기 위해 선생님이 보여주셨던 가지 가지 종류별 탈을 보면서 재미있어 했던 기억도 난다.

그보다 더 어릴 적 초등 시절엔 운동회 날 부모님 앞에서 예쁘게 멋지게 추기 위해 더운 여름 내내 땀 흘리며 운동장에서 꼭두각시며

강강수월래며 부채춤을 추었던 기억이 난다.

그때 그 춤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탈춤이었는데 어찌나 팔이 아프던지 탈춤하면 참 힘들었었는데 하며 씨익 웃게 된다.

그래도 덩실 덩실 긴 소매 자락을 위로 추어올리고 다리를 들썩들썩 들며 열심히 했었었다.

비록 운동장에서 연습할 때 모두가 같은 체육복 바지를 입고 추던 모습은 웃음보 터지는 가관이었지만.

 

겨레 전통 도감 - 탈춤

책이 오기 전부터 얼마나 설레이고 고대하였는지 모른다.

아이를 데리고 안동 하회마을에 갔을 때 시간이 맞지 않아 탈춤 공연을 보지 못한 것을 내내 아쉬워했었다.

아이는 아직 탈춤이 어떤 것인지 자세히 와 닿는 느낌으로 알지 못하지만 엄마가 왜 그리 안타까워하는지에 관심을 많이 보였었다.

짐 캐리가 재미있게 등장한 오딘의 탈을 소재로 한 영화도 있었지만 세상 어디에도 우리 탈처럼 익살스럽고 따스한 정을 담고 있는 탈은 없으리라.

말뚝이 취발이, 미얄할미, 노장, 먹중, 문둥이......

양반들을 풍자하고 꼬집는다하지만 우리 서민들의 삶과 생활과 바람이 그대로 들어있는 탈춤 속엔 응어리진 한을 탈춤 속에 풀어내고자 한 선조들의 지혜와 해학이 담겨있다.

양반과 서민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준 탈춤.

장면을 묘사한 그림과 각 마당별 줄거리가 자세하게 나와 비록 움직이는 탈춤은 아니지만 글로 그림으로 그 느낌과 담긴 사상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다.

 

하회별신굿 탈놀이와 가산, 통영, 고성 오광대, 수영야류, 동래야류, 양주 별산대, 송파산대놀이, 봉산탈춤, 강령탈춤, 북청사자놀이

각 테마별로 무형문화재 몇 호이며 과장별 종합 설명과 유래나 담긴 의미 등을 먼저 이야기하고 각 과장별로 그림과 줄거리를 자세히 묘사한다.

아이는 전에 이야기했던 안동하회탈춤과 부산지방의 들놀음인 수영야류와 동래야류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오광대와 비슷하지만 전체 과정은 하회별신굿탈놀이와 비슷한 수영야류.

낙동강을 기준으로 직업연예인이라 할 수 있는 이들이 창원, 마산, 수영 등 지역으로 고루 다니며 공연을 했단다.

수영야류가 먼저 생기고 동래야류가 생겼는데 음력 정월 초 풍물패가 집집마다 들러 잡귀를 쫓고 복을 비는 지신밟기를 해주고 들놀음에 드는 돈을 마련했단다.

탈춤과 함께 풍년을 비는 마을 사람들의 줄다리기도 있었고 길놀이로 먼저 시작을 했는데 길놀이를 보았던 기억은 아스라히 떠오르기도 한다.

일제시대 때에는 민족의 얼을 뽑고자 금지시키기도 했는데 다시 이어져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으니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민족 정서가 그대로 느껴지는 정겨운 탈놀이 그림과 쉽고 재미있게 잘 서술한 글이 아이의 호기심을 자극해서 계속 읽게 만든다.

 

요즘 운동회는 탈춤이나 부채춤보다 현대 유행하는 노래나 서양에서 유래한 댄스들이 많은 것 같다.

아이들의 재롱에 웃음꽃을 함박 피우기는 했으나 우리 전통문화예술도 일부러 넣어주었으면 좋겠다.

내가 오래전 추억을 떠올리며 탈춤을 회고하는 것처럼 갈수록 잊혀져가고 생소해져가는 우리 아이들에게 우리 전통 문화를 알려주고싶다.

이 책이 아니었다면 아마 우리 아이는 탈춤을 학교 시험을 위한 단 몇 줄로 기억하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겨레 전통 도감 - 탈춤, 너무나도 소중하고 귀한 책.

온가족이 같이 보며 많은 이들에게 소개하고 권했으면 좋겠다.

우리의 것이 소중한 것이여~를 외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