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뭐예요? - 1초에서 100년까지 시간 읽기를 배울 수 있는 놀이책
파스칼 에스텔롱 글.그림, 이희정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밥 먹다 말고 아이가 묻습니다.
밥 먹으면서 얼른 먹고 가라고 채근하는 엄마에게 이렇게....
엄마 왜 8시 60분은 없어? 59분 다음은 60분이잖아 그런데 왜 60분이라고 하지 않아?
한참을 고민하다가(속으론 시간없는데 밥 좀 빨리 먹지 -.-) 8시 59분 다음 8시 60분이 9시인데 8시 60분이라고 하면 헛갈리잖아. 그래서 그래...
좀 더 지혜롭게 답을 해 줄 순 없었을까... 아, 우문현답이 아니라 현문우답이로고!
1초, 일 분, 하루에서 일 세기까지 시간의 개념을 아이들의 놀이와 일상생활을 통해 아주 흥미롭고 재치있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 나왔다 해서 옳거니 바로 이 책이로세 했습니다.
굉장히 기대가 컸던 책입니다.
아이가 아주 아주 진지한 자세로 읽어갔습니다.
물론 궁금한 거 나오면 바로 물어본다고 엄마를 옆에 앉혀놓구요.
점점 커지는 글자, 한 면을 가득 채우는 주제어,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안성맞춤 설명과 그림
몇 장 넘기지 않아도 마음에 들더군요.
1초에서부터 시작해서 1분, 1시간, 1주일, 한 달, 일 년, 1세기......
생각해보면 참 쉽지 않은 이야기거리인데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잘 풀어놓았습니다.
1분의 거리(길이)를 이해시키기 위해 색색칸의 60. 
하나씩 읽다보면 60초, 1분이 지나가지요.
1시간의 개념을 이해시키기위해 몇 가지 예도 들어주고 파운드 케이크를 만드는 시간이라고 하며 만드는 방법도 알려주네요.
책을 펼쳐놓고 직접 만들어가면서 해보면 훨씬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우리는 보기만 하고 아직 파운드 케이크를 만들기를 시도해보지는 못했습니다.
사실 한 번 하려면 마음먹고 일을 벌려야만 하거든요. ^^
하루의 시간 개념을 익히면서 동시에 시계놀이를 해볼 수 있게 되어있네요.
아이디어가 참 좋습니다.
긴 바늘과 짧은 바늘을 돌려가며 직접 시간도 말해보고 예제에 스티커를 붙여가며 다시 익혀보고.
우리 아이도 붙여놓고 맞는지 봐달라고 하네요.
릴리의 하루 일과를 보면서 낮 열두 시가 지나면서부터는 13시, 14시의 개념도 익히구요.
우리 아이는 이 부분을 헛갈려 했었는데 이젠 알겠대요.
일주일과 어제 오늘 내일의 개념도 책을 돌려가면서(보다 정확히 말하면 책 속에 돌리는 판이 들어 있어요) 이해하고,
나의 일주일과 퀴즈로 한 번 더 복습~
주먹으로 일 년 열두 달의 30일과 31일로 끝나는 달을 배울 수 있게 되어 있는데
놀라워요. 아이와 나란히 저도 해보면서 이렇게도 알 수 있구나 했답니다. => 강추!
일 년 4계절과 달력 만들기, 1세기의 개념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아이들에게 알려주네요.
기대만큼 멋진 책이었어요.
참, 빠뜨릴 뻔했네요.
책이 고급스런 양장본인데 제본이 스프링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보기가 더 편해요.
참 좋은 책을 만났다싶어서 좀 길게 후기 남겨요.
이 책을 궁금해하시는 분들께 알려드리고싶어서요.
아이의 물음에 답을 해놓고 좀 더 나은 대답을 해줄 수 없었을까 고민했었는데
시간 개념을 알려주고싶으신 분들께 추천해드리고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