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긍정 확언을 한 번 할 때마다 나를 스캔하게 된다.

2. 내가 어떤 가치가 있고 어떤 능력이 있는지 체크한다.

내가 외친 목표보다 나 자신이 부족하다는 것을 안다.

부족한 나 자신을 인정한다. 열정이 생긴다. 저절로 노력하게 된다.

결국 확언이 이뤄진다.

긍정 확언을 외친다고 무조건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을 이해하고 노력도 함께해야 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긍정 확언을 외치기만 하면 안 된다.

모든 감각을 열고 긍정 확언을 외쳐야 한다. 

분명 외치는 목표보다 자신의 능력이 모자랄 것이다.

여기서 판가름이 난다. 어떤 사람은 "에이, 이게 되겠어?"라고 포기하고 어떤 사람은 "내가 부족하구나. 목표를 이루기 위해 뭘 하면 될까? 그래 일단 도서관에 가서 책부터 읽자"라고 결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이터 속에 사람들의 마음과 행동이 있다. 그리고 숫자 너머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법은 일하는 사람에게 견실한 내공이 된다. 사람의 마음이란 복잡다단하기 때문에, 겉으로 보이는 데이터보다 한 단계 더 들어가서 진실을 파헤쳐봐야 할 때도 많다.

일하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 박소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깊게 잠수하는 법,

즉 한 단계 더 깊게 관찰하고


생각하는 습관을 키워야


아이디어 감각이 제대로 키워진다.

 


이 단계가 없으면


아무리 넣은 게 많더라도


실제로 출력할 시점이 왔을 때는


울퉁불퉁한 오프로드를 달리듯


덜컹거리게 된다.


들으면 아는 것 같지만


정작 말은 하지 못하는


어설픈 지식만 흔적처럼 남게 된다."

데이터 속에 사람들의 마음과 행동이 있다.

그리고 숫자 너머를 올바르게 해석하는 법은 일하는 사람에게 견실한 내공이 된다.

사람의 마음이란 복잡다단하기 때문에, 겉으로 보이는 데이터보다 한 단계 더 들어가서 진실을 파헤쳐봐야 할 때도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