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깨진 청자를 품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나, 깨진 청자를 품다 - 자유와 욕망의 갈림길, 청자 가마터 기행
이기영 지음 / 효형출판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는 세 가지 이야기가 버무려져 있다. 청자를 만든 도공들과 가마터 순방의 이야기, 청자를 만든 시기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역사 이야기, 그리고 저자 이기영님 자신의 인생과 생각에 관한 에세이적인 이야기가 그 무엇이 먼저랄 것도 없이 혼합되어 있는 구성이다. 청자에 대한 설명문적 형식을 예상했던 차여서 이런 에세이 분위기의 글이 처음엔 낯설었으나, 외교학, 경제학을 공부하다가 뒤늦게 도자 공부를 시작한 저자의 범상치 않은 이력과 생각을 이해하기엔 적절한 형식이었다.

전국에 산재한 청자 가마터는 오랜 역사가 지나는 동안 누군가의 집이 들어서버리기도 했고, 깊은 산 속에 자리하여 찾아가기 힘든 경우도 있었다. 지역 주민들도 잘 모를 정도로 기억에서 잊혀진 가마터를 찾아가는 순례의 현장에는 가마에서 나오자마자 도공의 손에 의해 깨진 청자 조각들이. 뒹군다. 낙엽 아래에서 혹은 쓰레기 더미에서 모습을 감추고 있던 조각난 청자 조각는 저자를 비롯한 도예 관계자에게 채집되어 그 작은 형체로 당시의 역사를 온 몸으로 말한다. 어느 정도 상상과 추측이 포함되기도 하지만 풍부한 역사적 지식과 혼합되면 꽤 그럴 듯한 가설이 세워지곤 한다.

가마터에서 발견한 청자 조각들은 요즘의 자기 제품과 비교하면 턱없이 두툼하고 불순물조차 섞여 있는 것 같은 색감이지만, 당시의 기준에서는 귀족들만 사용하던 것이 가마터의 확장으로 일반 서민들에게까지 이용이 확대된 고마운 상품이었을 것이다. 지역마다 색감도 다르고, 바닥의 형태도 다르며, 도공의 솜씨도 다르다. 제멋대로 울퉁불퉁 부풀어오른 것이 있는가 하면, 꽤나 매끄럽고 색감도 고른 청자조각들도 있었다. 장보고의 야망과 이상이 한낱 물거품으로 돌아가면서 청해진에 거처를 두었던 서민들의 삶도 조각나 버렸듯이, 한때의 영화로운 세월을 거쳐 못난 조각만 남은 청자가 간혹 쓸쓸하게도 보인다. 그래도 하찮은 깨진 조각들이 도자기의 역사를 증언하는 중요한 도구로서 제 역할을 하고 있으니, 앞으로도 청자 조각을 찾아 떠나는 성지 순례의 발길은 계속될 것이다. 작은 조각에서 그 시대 도공의 마음을 읽고 문화를 엿보는 보람 있는 작업을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