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인과 바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8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2012년 1월
평점 :
문학에 조금씩 손이 가면서부터 문학의 맛에 중독되는 듯한 느낌이다. 똑같은 음식이지만 분위기에 따라 맛이 틀린 것처럼 같은 책이지만, 지금 읽은 ‘노인과 바다’는 어릴 때 읽었던 것과는 사뭇 느낌이 다르다. 자라지 않을 것 같던 나의 마음도 나름의 세월의 바다에서 성장했는가 보다.
한없이 한적하며 평화로우며 필요한 먹을거리를 제공하지만, 한 순간 돌변해 비바람과 폭우를 쏟아 부으며 생명을 위협하는 바다. 노인은 이 바다에서 홀로 고기와 싸우며 고군분투한다. 가진 거라고는 고기를 잡는 데 필요한 도구와 배 그리고 노인 자신. 바로 이 점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드넓은 바다에서 그 누구도 없이 자신만이 생존하기 위해 고기와 사투를 벌이고 있다. 바로 그 바다가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이요, 그 노인이 바로 우리 자신이며, 고기가 우리가 살아가면서 부딪치는 역경이며, 고난이다. 인생의 바다에서 얼마나 많은 자신이 낙오하고 스스로를 포기하고 버려 버리는가?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는 이런 현대인에게 따끔한 일침을 가한다. ‘인간은 패배하도록 창조된 게 아니야. 인간은 파멸당할 수 있을지 몰라도 패배할 수는 없어.' 인생의 바다에서 우리가 오늘 당장 사라질지언정 포기와 패배를 할 수는 없다. 바다에서 고기와 사투에서 보여주는 노인의 열정과 생명력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젊은이들이 다시 ’노인과 바다‘를 읽어 봐야하는 이유를 제시해 준다.
‘노인과 바다’는 인간의 자연으로의 회귀를 노래한다. 바다에 혼자 남은 노인은 달, 해, 심지어 자신과 싸우고 있는 고기조차 친구이며 인생의 동반자이다. 비록 살기위해 고기를 잡기는 하지만..... ‘하기야 저 고기도 내 친구이긴 하지. 저런 고기는 여태껏 본 적도, 들은 적도 없어. 하지만 나는 저놈을 죽여야만 해. 하지만 별들은 죽이지 않아도 되니 다행이지 뭐야.’ 자연을 고마워할 줄 아는 마음, 비록 고기를 잡지만 고기 또한 자연의 일부로 함께 살아가야하는 동반자로서 생각하는 마음, 자연을 이용하기만 할 줄 알고 우리가 자연의 자식이라는 것을 망각하고 있는 우리들은 책의 한 구절 한 구절에서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을 수가 없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노인이다. 왜 노인일까? 인생의 격정 속에서 살아가면서 삶의 어느 시점에 이르러야만 깨달게 되는 그 무엇이 있다. 그 시점은 우리가 연륜이 쌓였을 때이다. 때문에 노인이라는 단어는 나약함이나 삶의 끝을 의미하지는 않아야 한다. 숱한 경험과 노련함으로 바다를 헤치며 살아온 노인은 혼자서 고기와 상어와의 결투를 이겨낸다. 그것은 그가 살아온 인생이 그에게 허락해 준 지혜이자 보물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허나, 현대의 우리는 나이가 들었다는 이유로, 신체적으로 허약하다는 이유로, 세상의 빠른 변화에 대처해야한다는 이유로 그들을 버리고 무시하고 있다. 젊음이라는 열정과 에너지가 중요하기는 하지만 그 젊은이가 고기와 상어와 벌이는 싸움에서 승리해 살아 돌아올 것 같지 않다고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노인은 자신과 고기와 바다와 이야기하면서 항상 소년을 그리워한다. 따뜻하게 대화를 나누어줄 사람이 필요하며 일을 도울 사람이 필요하다. ‘그는 자기 자신과 바다가 아닌 이렇게 말 상대가 될 누군가가 있다는 게 얼마나 반가운지 새삼 느꼈다.’ 인생의 바다는 혼자서 헤쳐 나가기는 누구라도 어렵다. 인생의 동료가 필요하다. 우리 주위에 있는 누군가는 우리의 동료이자 친구이다. 노인이 혼자 바다에서 느꼈을 외로움은 우리 주위의 사람들을 다시 한번 돌아봐야할 여유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