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도체 슈퍼 乙 전략
전병서 지음 / 경향BP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영 #한국반도체슈퍼을전략 #경향BP #전병서 #한국반도체 #반도체전략 #반도체경제 #미래반도체 #리뷰



[한줄평]

더욱 더 어려워지는 한국 반도체 입지, 이 난제를 현명하게 풀어나갈 수 있는 알려주는 제언이 있는 책입니다.

[100자서평]

반도체는 4차산업혁명시대의 '디지털 식량'이라고 이야기할만큼 그 중요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런 반도체 산업의 리더들은 처음 미국에서 시작되어 지금은 동아시아로 그 주도권이 넘어갔습니다. 하지만 이런 추세라면 모든 반도체 산업의 중심이 동아시아로 넘어가면서 세계1등의 미국은 자신의 위치를 위협받을 수 있다는 불안감에 다시 반도체 산업을 내재화하려 합니다. 그 결과가 바로 미.중 무역 갈등이 일어난 배경입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의 상황의 어려움을 어떻게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을까요?

저자는 책 속에서 미국은 자국의 반도체 내재화를 위해 현재 반도체 산업의 선두기업인 TSMC, 삼성를 보조금 지원등의 미끼로 중국을 기술 부상을 지연시키고, 미국의 리더쉽을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이라 말합니다. 하지만, 예전 미국이 일본의 반도체 산업을 침몰시킨 것과는 다르게 중국이 쉽게 무너지 않고 오히려 중국은 반도체의 개발과 투자를 더욱 견고하게 지켜나가고 있고, 기술 발전 역시 꾸준하게 발전되고 있다고 합니다. 저자는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을 직시하고, 앞으로 우리나라가 취해야할 반도체 전략을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고래 싸움에 새우등이 터지는 것을 막을 방법은 바로 대체 불가능한 기술력을 가진 슈퍼 을이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책을 읽으면서 국가간의 반도체 패권 다툼의 원인과 예측되는 결과를 이해할 수 있었고, 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혜안을 제시해주는 저자의 지혜에 깊이 감탄하며 읽었습니다.

[본문에서]

"미국이 시작한 미국 내 반도체 생산 내재화는 전쟁과 같다. 최첨단 반도체 생산을 대만과 한국에 의존하는 미국, 좋게 말하면 '프렌드쇼어링'이지만 앞으로는 푼돈을 내밀며 뒤로는 안보를 무기로 위협하면서 한국과 대만을 억지로 '양자(養子) 삼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미국에게는 안보를 위탁하고, 중국에게는 경제를 의존하는 위치에 있는 한국에게 이 어려운 상황을 어떻게 헤쳐나가야할지 큰 걱정이 되고 있다. 어떤 나라이든 국익을 우선하기에 고래 싸움에 새우인 듯한 대한민국은 어떤 균형외교를 해야 이 어려운 난제를 잘 풀어갈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든다. 책을 통해서 우리나라가 어떤 입장을 취해야하는지 또는 할 수 있는지를 배워보고자 한다.

"삼성의 파운드리 매출액은 TSMC의 매출액의 1/3에도 못미치는 27%에 그친다. 삼성과 TSMC의 다른점은 무엇일까?" 첫째: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다. 둘째: 5nm의 기술 수준에 차이, 셋째: 고객사 수 & IP(설계 자산) 수의 차이"

저자는 삼성의 메모리와 파운드리가 분리되어야한다고 말한다. 자신의 제품과 경쟁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하청업체와 기술을 교류하면서 원활한 개발할 수 없을 듯 하다. 따라서 저자가 한 이 말이 내키지는 않지만 꼭 새겨들을 필요가 있는 것 같았다 "TSMC는 필수, 삼성은 선택"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로 서방 세계가 중국과 반도체를 단절하면 중국은 기술 국산화를 위해 전력투구할 것이고 사회주의 특유의 국가 동원력을 가진 중국의 국가 역량을 감안하면 중국은 10-15년 안에 국산화를 이룰 수도 있다. 그런 상황이 오면 서방 반도체 기업에게 중국이라는 세계 최대 수요처가 사라져 버릴 수도 있다. 즉 시장이 없는 기술은 의미가 없다."

이 말이 맞다면 우리는 10-15년뒤에 반도체의 시장 30%가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현재 중국의 반도체 국산화가 위협적으로 들린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것이 중국의 자본력, 투자 지속 기간, 반도체 개발 인재 발굴이다. 화웨이 회장의 '천재소년계획' 역시 위협적이다.

"4차산업혁명에서 미국이 중국을 제압하려면 핸드폰과 전기차에서 중국을 고사시키지 못하면 답이 없다. 한국은 반도체와 배터리 경제 동맹에서 실리를 챙기면 된다."

책에서 나온 우리 나라가 취해야할 입장이다. 미래 산업의 두 축인 핸드폰과 전기차에 대한 누구나 가질 수 없는 기술력을 보유한다면 이 어려운 난국에서도 우리의 위치를 견고하게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을 가져본다. 다행스럽게도 지금 우리 나라는 반도체도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의 산업도 잘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 나라의 경제와 국력을 이끌어 갈 반도체와 배터리 산업을 정부와 기업이 함께 힘을 합쳐야 할 것이다.

"지금 반도체는 기술 전쟁이 아닌 '쩐의 전쟁', '인재 전쟁'이다 과감한 정부의 인재와 자금 지원이 뒤받침되어야 가능하다."

저자는 당면한 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두 가지의 요소를 말해주고 있다. 바로 자금과 인재다. 기술이 있기 위해서는 인재가 필요하고 인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 반도체와 배터리에 관련된 첨단 산업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 정부와 기업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이것이 우리 나라가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고래 싸움 속에서 누구도 가질 수 없는 대체 불가능한 기술력이라는 안전한 방어막으로 고래 싸움에서 떨어지는 콩고물을 주워 먹으며 관망할 수 있어야할 것이다.



이 글은 리뷰어스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