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찌가 익을 무렵 - 효리원 대표 작가 대표 동화 01 효리원 대표 작가 대표 동화 16
이오덕 지음, 이태호 그림 / 효리원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한 30년 전의 이야기라고 한다.  

요즘이네 옛날이나 선생님과 교장 선생님은 하지 말라 투성이다. 

물론 아이들 다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지만.. 더 좋고 아이들 행복한 방법이 있을텐데.. 하지 말라고 말하는 것이 제일 쉽기는 하다.  

버찌는 달짝지근하고 맛있다. 나 어렸을 적에도 뽕나무 열매 따먹으러 다니면 딴 동네 언니를 우리동네 남자아이들이 놀려 울리곤했었다. 냉이 캐러 다니고, 아빠가 소 풀베러 가셨다 산딸기 따오시면 가시 피하며 먹곤했는데. 앵두 따다 언니랑 오빠랑 나누어먹고. ^^ 

이사를 하고 나니 더욱 멀리 느껴지는 어린 시절 이야기다. 불과 20년 전 일인데도. ^^ 

이 글 속에는 교장선생님, 선생님들이 버찌 나무 아래 감독을 나왔다 나무들 속에서 옛 일이 떠오르며 아이들 마음을 이해하게 된다. 자연은 역시 치유의 장소인가보다. 

우리 동네 근처에 조박사네 가는 길에 나무랑 배과수원 조금이랑 소나무들이 많다. 인심 좋은 주인 아저씨는 마당 앞 큰 나무에 큰 의자를 매달아 주셔서 우리 아가들은 봄부터 가을까지 하루에 한 두번 거기에 가서 시차시차도하고, 돌아다니는 닭도 보고, 풀도 뜯고 그런다. 

거기 가는 길에 버찌랑 오디 나무가 있다.  

오디나무 근처는 배과수원이라 소독을 많이해서 아가들 못주고 버찌는 봄이면 자주 따먹는다. 아가들이 무척 좋아한다.  버찌 꽃을 처음 보고는 작고 앙증맞은 것이 너무 이뻐서 한동안 보았던 기억이 난다.  형부는 아가주고 형부 먹고 그러려고 나무 위에 올라가기도 한다.   

여름길엔 애기똥풀로 손톱에 물 들이고.

요즘은 가을이라 노랗게 빨갛게 물든 숲길 산책을 아가들이 좋아한다. 바닥에 은행잎도 줍고. 아카시아 나뭇잎 따서 점도 치고. 그런다.  

씩씩하게 걸어가는 은서와 예은이를 볼때면 한 폭의 그림같다.  

뒤에는 뒤뚱뒤뚱 우리 인성씨랑 내가 가고. ^^ 

이런 것들이 우리 아가들 험한 세상 살아갈 때 따뜻한 한 자리가 되어 쉴 자리 되어 주겠거니한다. 

안성에 오래오래 살아야겠다.  이 책을 이런 저런 주변을 살펴보게 만들고 감사하게 만드는 힘이 있는가 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자를 먹으며 낮은산 어린이 7
이오덕 지음, 신가영 그림 / 낮은산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찍 선생되지 못한 걸 후회한 것은 이오덕 선생님을 뵙지 못해서다. 이런 분이 계심을 알았다면 대학 때 그리 방황하지는 않았을텐데... 더 많이 공부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다. 

읽다가 자꾸만 눈이 찌뿌둥하다. 선생님 자라온 이야기다. 감자 먹던 이야기. 모든게 귀했던 시절. 누구는 무척 힘들었다던 그 시절 이야기가 따뜻하고 포근한 감자맛에 싸여 마음에 들어온다. 

별 100개도 모자란다. 종이는 재생지일까? 느낌이 참 좋다. 

글 끝에 선생님이 덧붙이는 말 

"이것은 특별히 아이들에게 읽히기 위해 쓴 시가 아닙니다. 그런데도 '동시'를 써달라는 자리에 내어놓게 된 것은, 김치나 된장을 싫어하는 요즘 아이들에게 나와 같이 살아온 '할아버지 세계'를 한 번쯤 생각해 보도록 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정말 이런 '할아버지들의 세계'를 조금이라도 이어받지 못하고 그것을 죄다 잃었을 때, 그 때 우리 아이들의 몸과 마음에 남아 있는 것이 무엇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하엘 엔데의 마법 학교 푸른숲 어린이 문학 4
미하엘 엔데 지음, 카트린 트로이버 그림, 유혜자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소원을 비는 가장 중요한 규칙 

1. 네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소원만 진정으로 빌어라. 

2. 네 자신의 마음 속에 들어 있는 것만 가능하다는 걸 명심하다. 

3. 진실로 원하는 것만이 네 자신의 마음이 될 수 있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능력자와 진실하지 못한 살마들은 자기에게 정말로 필요하지 않은 물건들ㅇ르 가져가 세상을 어지럽게 만들어." 

마법학교 과정을 천천히 설명해 주고 있는 견학문ㄴ이다.  

어른인 나로써는 재미가 없다ㅏ. ㅠ.ㅠ 

질버씨 입을 통해 미하엘 엔데는 아이들에게 여러 가지 삶을 살아가는 태도, 마음가짐을 가루쳐주고 싶었나보다. 

나도 진정으로 나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으면 소원나라에 갈 수 있을까? 

꿈과 마법이 가득한 그 곳이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따뜻한 손 낮은산 어린이 8
김일광 글, 유동훈 그림 / 낮은산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이 오면 버스가 오나 안오나,, 오늘도 걸어가야 하나?? 

차라리 집에 있을 때 눈이 오는 건 좋다. 학교 안가도 되니깐. 

문제는 주말이 되어 집에 가야 하는데.. 무심한 하늘에서 눈이 내릴 때.. 흑..  

집에 빨래가방을 한아름 어깨에 맨채 언덕을 넘어 걸어가야 한다. ㅠ.ㅠ 

눈 오는 날 버스 아저씨들은 굉장히 무서웠다. 

종점 바로 전 우리 동네는 차 놓치기 쉽상이었다. 

우리 동네 오는 버스 아저씨들도 이렇게 따뜻한 마음을 가졌었더라면..  

아마도 저기 어딘가 버스 아저씨는 이렇게 따뜻한 마음을 갖고 서로 기다려주고 배려해주며 살겠지싶다. 

이런 분이 많은 세상은 살맛 나는 세상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이케다 가요코 구성, C. 더글러스 러미스 영역, 한성례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수업 시간 통일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정확한 수치를 책에서 보여주며 하니 믿음이 커진다.  

굶어 죽기도 하는 사람 중에 우리 이웃 북한 친구들도 있다니..... 

통일 해야 겠다. 

 

통계학, 숫자들.. 통계라는 것은 숫자가 주는 믿음으로인해 잘못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건 믿을 만 한것 같다.  

이 많은 것을 다 어떻게 알아냈을까.  

 글 속에서  

"지구 마을에는 식량이 모자라지 않아요.  모든 사람에게 음식이 고루고루 나누어간다면, 배고픈 사람은 없을 거예요. 하지만 지구 마을 사람들은 음식을 골고루 나누어 먹지 않아요. 그래서 어떤 사람들에게는 음식이 남아돌고, 어떤 사람들은 굶주리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60명의 사람들은 항상 굶주려 있으며, 이 가운데 26명은 너무 배가 고파 죽게 될지도 몰라요. 16명은 이따금 배가 고픈 정도이고요. 겨우 24명의 사람들만이 늘 배불리 먹을 수 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