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 책이 내게 말을 걸어 왔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헌책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 - 어느 책방에 머물러 있던 청춘의 글씨들
윤성근 엮음 / 큐리어스(Qrious)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우연인지 필연인지는 모르겠지만 오래전 내가 살던 지역의 시립도서관에서 도서를 빌렸을 때의 일이 기억난다. 계절은 아마도 가을이었나 보다. 책장 사이에 끼워져 있던 낙엽이 그때의 계절을 말해주고 있으니 말이다. 학교 다닐 때부터 책을 좋아해서 학교 도서관에서 늘 책을 빌렸었고 학교에 없는 책을 시립도서관에서 빌렸었는데 거의 일 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다시 그 책을 빌렸을 때 아직도 끼워져 있는 낙엽을 보고 신기해했던 기억이 난다. 처음에 그 책을 빌렸을 때에는 단순히 학교 과제 때문이었고 그 과제를 해야 했기에 내용의 이해도가 상당히 낮았던 탓에 일 년이라는 시간이 지나고 나서 마음의 여유를 되찾았을 때 다시 그 책을 빌리게 되었고 책장을 넘기며 발견한 일 년 전의 낙엽을 발견하게 되었던 그때의 기억은 참 남달랐고 같은 책을 다시 읽으니 내용의 이해나 그 책의 작가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다른 생각도 할 수 있게 되었다. 과제를 할 때에는 미처 발견하지 못하는 메시지라고나 할까.

 

 대부분 사람은 한 번 읽고 난 책을 다시 읽는 사람은 거의 없는 것 같다. 물론 몇몇 사람은 그렇게 읽기도 하겠지만 정말 극소수라는 점이다.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의 책을 다시 읽기란 흥미와 재미, 이야기의 구성을 알고 있기에 더 즐거움이 반감되어 버리기 때문인 것 같다. 더욱이 스릴러 장르의 소설은 더욱 그러하다는 점이다. 몇 년 전 내가 그 책장 사이에 낙엽을 끼워 놓고 일 년이 지난 후 다시 그 책을 찾아서 읽으면서 발견하게 된 낙엽의 모습을 봤을 때 참 신기하다는 생각을 했더랬다. 그 사이에 누군가가 책을 읽었을지도 모르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그 책을 아무도 빌려 읽지 않았다는 것이니까. 그렇듯 자신만의 흔적을 어디에 새기거나 남겨 둔 후에 오랜 시간이 흘러 다시 그 흔적을 발견하게 되거나 우연히 보게 된다면 그때의 그 날이 떠오르며 잠시나마 그때로 거슬러 올라가는 기분이 든다. 이렇듯 오래된 카페나 유명 관광지에 가면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낙서가 그러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카페인 경우는 주인이 낙서로 카페를 꾸미지 않는 이상 무분별한 낙서를 한다거나 자신이 앉았던 곳에 자신만 알 수 있는 무언가를 남겨두지는 않는다. 또 다른 예로 헌책이나 아주 오래된 책을 봤을 때 책장을 넘기다 보면 글자 하나 혹은 문장 한 줄, 아니면 그때 누군가가 생각하며 적을 글자가 새겨져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무언가 아주 오랫동안 묵혀둔 묵은지처럼 그 글자는 오래도록 그 책장에 고스란히 남아있었고 그때 누군가의 흔적으로 그 당시의 고민이나 생각, 혹은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통해서 어떤 이의 생각은 이러했고 또 누군가의 생각은 저러했음을 알 수 있다. 오래된 책의 책장을 넘기다 보면 헌 책의 냄새가 배여 있는데 그 냄새 속에 담겨 있는 책장 속 누군가의 글자는 그 당시의 삶을 보여주는 듯했다. 「헌책이 내게 말을 걸어왔다」 라는 이 책의 제목은 참 궁금하게 만든 책이었다. 이 책의 저자는 책방을 운영하고 있는데 자신의 책방에서 발견한 헌책에 기록되어 있는 짧은 메모나 누군가의 생각을 책으로 펴낸 것이다. 누군가는 아주 긴 장문을 책에 남겼으며 누군가는 아주 짧으면서도 강한 한 줄을 남긴 사람도 있었다. 누군가가 그 책방에 머무르며 남기고 간 흔적을 통해서 그때의 잊고 있었던 청춘을 떠올리며 단순하게 낙서가 아닌 누군가의 생각이나 그 당시의 삶을 엿볼 수 있다는 부분이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이 아닐까 한다.

 

 누군가의 많은 사람이 거쳐 간 한 권의 책에 남겨진 글귀 한 줄은 누군가에게는 그때의 기억을 떠올리게 해주었을 것이고 또 누군가는 그 한 줄의 글귀로 자신의 지난날을 되돌아봤을지도 모를 일이다. 헌책이라는 것을 단순하게 책이 아닌 많은 사람의 손때가 묻은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는 책방에 있는 책들과 그 책 속에 남겨져 있는 누군가의 진실함과 청춘을 기록한 글을 통해서 지난날을 되돌아보게 하여 주었고 제각각의 글씨체와 누군가의 손길이 닿아서 낙서가 아닌 그때의 흔적을 보여주는 헌책을 읽으며 잠시나마 잊고 있었던 그때의 기억을 되살려 보는 것도 좋은 것 같았다. 인터넷이 발달하지 않았던 그때의 시절에 종이에 꼭 메모해야 했던 그때의 그 시절에 남겨진 흔적의 글귀는 고스란히 되살아나 잊혀 가고 있던 그 무언가를 보여주고자 했던 것이 아닐까 한다. 단순하게 낙서라고 치부하기엔 너무 많은 깊은 울림이 고스란히 남겨져 있는 헌 책이기에 어떻게 보면 그 책이 누군가의 청춘이자 삶이기도 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아주 오래된 낡은 서랍 속에 고이고이 간직한 일기장처럼 누군가의 이야기나 생각을 읽으며 잠시나마 과거의 기억을 더듬어 보게 해주는 책인 것 같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