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알고, 바로 쓰는 빵빵한 어린이 초성퀴즈 2 : 우주과학편 우리 아이 빵빵 시리즈 16
박빛나 지음 / 유앤북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로 알고, 바로 쓰는 빵빵한 어린이 초성퀴즈2: 우주과학편』은 제목만큼이나 명확하고 유쾌한 방식으로 우주과학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흥미진진하게 풀어낸 과학 만화책이다. 이 책은 2025년 6월에 발행된 따끈한 신간으로, 박빛나 작가가 글과 그림을 함께 맡아 캐릭터 중심의 스토리텔링과 초성퀴즈, OX 퀴즈를 절묘하게 엮어 아이들이 우주를 배우는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책은 별자리, 행성, 은하, 블랙홀 등 초등학생에게는 다소 생소하고 어려울 수 있는 개념들을 일상적인 말투와 유쾌한 상황 속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별자리가 계절마다 다르게 보이는 이유를 설명하는 장면에서 아이들은 의문을 던진다. “별은 항상 그 자리에 있다면서 왜 계절마다 보이는 별자리가 다른 거야?” 그러자 다른 친구가 답한다. “별은 같은 위치에 있지만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기 때문에 우리가 볼 수 있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거야!” 이런 식의 대화는 과학 개념을 말로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궁금증을 스토리 속에서 자연스럽게 풀어가며 사고의 흐름을 따라가도록 이끈다.

책은 각 계절별 대표 별자리를 퀴즈로 익히게 한다. 봄철에는 ‘ㅅㅈㅈㄹ’(사자자리), 여름철에는 ‘ㅂㅈㅈㄹ’(백조자리), 가을철에는 ‘ㅍㄱㅅㅅㅈㄹ’(페가수스자리), 겨울철에는 ‘ㅇㄹㅇㅈㄹ’(오리온자리)처럼, 초성으로 출제된 별자리 퀴즈를 통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계절과 별자리를 연결지어 기억하게 된다. 이처럼 초성퀴즈는 학습 요소이면서도 놀이처럼 접근되어 집중력을 높이고, 자발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한다.

또한 복습 OX 퀴즈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태양은 돌로 된 딱딱한 항성이다. O/X”라는 질문을 통해 사실 유무를 제대로 확인할 수 있다. 태양은 기체(주로 수소와 헬륨)로 이루어진 뜨거운 항성이라는 사실을 익힌다. 이와 같은 퀴즈 형식은 반복 학습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아이들의 흥미와 도전 정신을 지속적으로 자극한다.

이 책은 초등학교 3~6학년 과학 교과 과정과도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지구의 자전과 공전, 별의 진화, 행성의 구성, 거리와 크기 비교, 우주 탐사 기술 등 교과서에서 다루는 핵심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주기 때문에 학교 공부와도 시너지를 낸다. 특히 천체 단원을 어려워하거나 막연하게 느끼는 학생들에게 매우 유용하다.

더불어, NASA의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된 그림과 설명은 신뢰도를 높인다. 예를 들어 토성의 고리나 초신성의 잔해처럼 교과서 밖에 있는 흥미로운 사실들도 다루어 아이들의 시야를 넓혀준다. 여기에 “외계인은 있을까?”, “우주의 끝은 어딜까?” 같은 질문을 던지며 아이들의 상상력을 확장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자극하는 구성도 인상적이다.

아이들이 실제로 만화 속 캐릭터들과 함께 우주여행을 하는 듯한 느낌을 받도록 기획된 점도 이 책의 큰 특징이다. 캐릭터들의 생동감 있는 대화는 지식을 전달하는 수단을 넘어, 아이들의 정서적 몰입을 돕는다. 예컨대, “봐봐, 북두칠성 알지? 그 끝을 따라가면 북극성이 있고, 그걸 보면 북쪽을 알 수 있어!” 같은 설명은 나침반이 없어도 별을 통해 방향을 찾을 수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쉽게 전달하며 과학을 실생활과 연결 짓는 힘을 보여준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어린이들에게 특히 추천할 만하다.

별과 별자리에 관심이 많거나, 과학 교과서를 어려워하는 초등학생, 질문이 많고 호기심이 풍부한 아이, 그리고 무엇보다도 만화를 통해 배우는 걸 좋아하는 친구들에게 잘 맞는다.

『바로 알고, 바로 쓰는 빵빵한 어린이 초성퀴즈2: 우주과학편』은 아이들에게 우주라는 광활한 세계를 열어주는 문이 되어 준다. 과학은 어렵고 멀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 충분히 재미있게 만날 수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은 실감 나게 보여준다. 놀이하듯 배우고, 퀴즈로 복습하며, 대화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아이들의 머릿속에는 별자리가, 행성이, 블랙홀이 자연스럽게 자리잡는다. 이 책은 과학적 호기심의 씨앗을 심어주는 시작점이 될 것이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채손독) @chae_seongmo'를 통해

'유앤북 출판사' 도서를 협찬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작성자]

#하놀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gonolza84

#하놀 인스타 @hagonolza



"이렇게 안 쓰면 별자리를 어디다 써?"
"물론 별자리는 같은 방향에 있는 별들이 하나의 모양으로 보이는 것일 뿐 서로 아무런 관계로 없어."
"별 위치 같은 걸 알아서 뭐하나?"
"그걸 알면 우주의 움직임도 알 수 있고, 방향도 찾을 수 있거든"
"봐봐, 북두칠성 알지? 그 끝을 따라가면 북극성이 있고, 그걸 보면 북쪽을 알 수 있어!"
"나침반 별 버전이네? 완전 멋있다!"
"그래서 별 자리를 잘 보면 길도 잃지 않고 밤하늘도 더 재미있게 볼 수 있겠다!"
"그리고 계절별로 보이는 별자리가 다 달라."
"그래서 생일별로 별자리가 나누어져 있는 거구나!"
"잠깐! 별은 그 자리에 항상 있다면서 계절별로 볼 수 있는 별자리는 다르다니, 앞뒤가 안 맞잖아?"
"그, 그게 아니라!"
"그럼 뭔데?"
"별은 같은 위치에 있지만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기 때문에 볼 수 있는 별자리가 다른 거야!"
"지구가 태양을 돌아…?"
"그렇구나! 그럼 내 생일에 뜨는 별자리는 뭐야?" -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