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강도 - 네버랜드 Piture books 038
토미 웅게러 글, 그림 | 양희전 옮김 / 시공주니어 / 199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아이들이 제일 무서워하는 대상은 도둑이다. 그래서 이책을 구입할 때 몹시 망설였다.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막연한 두려움 때문에 책에 대한 거부감이 생기면 어쩌나하고 말이다. 그런데 의외로 우리 아이들은 모두 이책의 열렬한 독자가 되고 말았다. 눈만 빼고는 검정 망토와 모자로 온 몸을 감싸고 있는 표지를 보자 아이들은 모두 얼어붙었었다.

정말 으시시한 분위기에 압도당했다. 그들의 무기도 그들의 악명에 맞게 무시무시하다. 후추가루 발사기로 말 눈에 후추가루를 뿌리고, 커다란 도끼로 마차의 바퀴를 부수고, 나팔총으로는 사람들을 위협하는 무서운 강도다. 어스름한 달밤에 뭐 훔칠 것이 없나 돌아다니는 세 강도는 어린이에게는 그야말로 극치의 두려움의 대상이 되고 남음직하다. 그런 강도들이 귀여운 고아 소녀 티파니를 만나면서 180도로 삶이 전환된다. 길을 잃은 아이들이나 불행한 아이들을 데려다가 기르게 되는 것이다. 자신들의 재물을 쓰기 위해서 말이다. 커다란 성도 사고, 아이들에게 자신들의 옷과 비슷하게 빨간 망토와 빨간 모자를 입히고 성으로 이사를 한다.

세강도는 이제 더이상 강도가 아니라 고아들에게 맘씨 좋은 양아버지가 되었다. 극적 반전 때문일까? 도둑들은 여전히 무서워하면서도 세강도는 매일밤 자기 전에 꼭 읽어줘야 하는 책이 되어버렸다. 우리 아이들이 어디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지는 잘 모르지만 무서운 강도를 맘씨 좋은 양아버지로 자연스럽게 바꿔놓는 토미 웅게러의 솜씨는 정말 놀랍다고나 할까?

검정색, 빨강색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음산하면서도 묘한 매력이 있는 그림책이다. 아쉬운 것이 있다면 길죽한 둥근 지붕을 뾰족 지붕이라고 해놓았다. 원서에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모르지만 분명 끝이 뾰족하지는 않는데... 번역의 묘미를 살렸더라면 좋았을 법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따로 따로 행복하게 - 3~8세 세계의 걸작 그림책 지크 35
배빗 콜 지음 / 보림 / 199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배빗 콜! 나는 개인적으로 배빗 콜을 좋아한다. 그녀의 기발한 발상과 코믹하기까지한 구성이 상큼한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엄마가 알을 낳았대'로 처음 배빗 콜을 알게되었는데 그때 받은 충격이란... '멍멍 의사 선생님'도 재미있게 보았다. 우리 아이들은 이 책을 보면서 멍멍의사 선생님이 하지말라는 것은 안하겠다고 다짐할 정도였다. 그리고 드디어 만난 이 '따로따로 행복하게'는 '우와' 감탄할 정도였다.

비록 아이에게 부모의 다툼이 아주 유치하고 가볍게 다뤄지고 있음에 틀림 없지만 최소한 부모도 다툴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또 이혼을 너무 가볍게 다루고 있어 자칫 진짜 이혼한 부모의 자녀들이 본다면 오히려 상처가 될수도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그만큼 충격을 덜 받으면서 이혼을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완충 역할을 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은 후에 '아빠는 지금 하인리히 거리에 산다'를 보면 좀더 진지하게 부모의 이혼을 생각할 수 있을 것같다. 이혼 가정의 자녀가 느낄 수 있는 심적 고통과 아픔을 진지하고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따로따로 행복하게는 그림책에서 다루기 어려운 주제를 다루고 있음에 틀림없다. 우리 아이들이 살아가야 할 세상에 아름다움과 사랑만 있는 것은 아니기에 폭넓은 간접 경험을 위해서라도 우리의 삶에서 다뤄져야 할 주제들이 여러 각도에서 그림책으로 나오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비를 잡는 아버지 길벗어린이 작가앨범 5
김환영 그림, 현덕 글 / 길벗어린이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알라딘에서 한 책 소개에 마음이 끌려 확인도 안해보고 주문을 한 책이다. 처음 받아보았을 땐 좀 실망스러웠다. 수묵화같기도 하고 펜으로 그린 것도 같은 것이 좀 어수선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보통 그림책에 비해 글도 작고 많은 편이라서 '아이쿠, 우리 딸이 별로 안좋아 하겠다!'하는 생각이 들었다. 며칠 동안 책꽂이에 묵혀 놓았다가 문득 손이 가 읽어보았더니 왠걸, 책을 읽은 후 한참까지도 여운이 남는 책이었다.

바우는 소작인의 아들이다. 마름의 아들인 경환과는 소학교 동창이다. 경환은 서울의 상급학교로 진학했지만 바우는 소나 몰며 땅만 파는 처지이다. 자기보다 공부도 못하던 경환이가 나비채를 휘두르며 재고 다니는 폼이 여간 꼴사나운 것이 아니다. 바우와 경환이가 한판 붙은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닐터. 문제는 바우네가 경환네의 소작인이라는 것. 바우가 나비를 잡아 와서 사과하지 않으면 다음해 소작이 떨어질 것이라는 엄포 속에 바우의 어머니와 아버지는 바우를 닥달한다. 하지만 바우는 자신의 마음을 몰라 주는 부모님이 야속할 뿐이다. 뒷산에 올라 야속한 마음을 달래던 바우는 산중턱 언덕에서 나비를 잡고 있는 아버지를 발견한다. 아버지, 아버지...

요즘 우리 아이들에게는 몹시 생소한 단어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소작농이니 마름이니 하는 말을 아이들이 얼만큼 이해할런지 모를 일이다. (우리 큰 아이가 고작 초등학교 1학년이기 때문이겠지만 말이다) 하지만 어른들에게는 가슴 뭉클하게 다가오는 아버지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괭이부리말 아이들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양장본
김중미 지음, 송진헌 그림 / 창비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점에서 몇번 표지만 보았던 책이었는데 느낌이 '혹 꼬방동네 같은데 사는 아이들 얘기 아닐까?' 하는 생각에 '분명 불쌍한 애들 이야기나 늘어놓았겠거니' 하고서 별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런데 이 책이 어린이 책임에도 불구하고 베스트셀러로 집계되었기에 호기심이 생겨 읽게 되었다. '도대체 어떤 내용이길래...'

단순한 호기심에서 읽게 된 책이었지만 아이들책이라고는 믿기진 않을 정도로 구성도 탄탄하고 작위적이지 않았다. 아이들 책은 어떤 때는 다소 자연스럽지 못한 부분이 없지 않아 있었는데 이 책은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진행되었다. 심리 변화가 쉽게 일어난 것같은 느낌이지만 아이들 책이므로 너무 복잡할 필요는 없으리라.

어쨌든 나는 이책을 읽으면서 눈물을 주체하지 못했다. 부모가 떠나버린 동준 동수 형제, 집나갔던 엄마가 돌아오자 아빠가 사고로 숨진 숙자 숙희 쌍둥이 자매 그리고 동준 동수 형제를 거두며 그들의 울타리가 되어준 청년 영호. 중반 이후에 등장하며 이들에게 희망을 주며 또 이들에게서 삶의 기쁨을 발견하는 박명희 선생. 이들이 연주하는 선율은 이기주의로 팽배해있던 나에게 또 우리 사회에 일침을 가해주는 듯하다. 그리고 그들도 우리의 이웃임을 외치고 있다.

큰 소리로 말하지 않고서도 큰 공명을 남기며 자근자근 그들의 이야기를 풀어가는 작가의 역량은 아마도 그들과 함께 살아온 작가의 삶에서 묻어나는 향기인듯 싶다. 지금 8살인 우리 큰 아이 아니 우리 세 아이 모두에게 꼭 읽혀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왜 날 수 없을까? 내 아이가 읽는 책 1
켄 브라운 글 그림, 이경수 옮김 / 제삼기획 / 200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서 가장 큰 새 타조. 그러나 불행히도 타조는 날지 못한다. 하지만 여기 날고 싶은 타조 한마리가 있다. 다른 새들은 다 나는데 왜 자신만 날 수 없는지 도무지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나 보다. 그도 그럴 것이 목이 긴 플라밍고도 날고 다리가 긴 황새도 날고 하다못해 날개가 타조의 것보다 훨씬 작은 참새도 나는데 말이다. 타조는 노력을 하지 않아서 그렇다고 결론을 내리고 드디어 날기 위해 일련의 노력을 하게 되는데...

아뿔싸, 번번히 실패하고 마는 타조, 쥐구멍이라도 있으면 들어가고 싶은 심정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결코 포기하지 않고 날기 위한 기계들을 만들어 다시 날기를 시도한다. 그러나 그 역시 매번 실패하고 만다. 그러나 타조는 이에 기가 죽지 않았다. 더큰 기계를 만들어 또 다시 시도한다. 그러자 이번에는 타조가 날았다. 그런데 친구들은 아무도 없었다. 타조가 나는 것을 보아야 하는데 말이다. 아무도 자신이 날고 있는 것을 믿지 않을 거라 생각하는데 친구들은 알고 있었다. 타조만 모르고 있을 뿐.

타조의 진지한 눈망울 그리고 실패했을 때의 그 참담한 모습이 인상적이다. 타조를 생각하는 친구들이 있었기에 아마 타조는 용기를 잃지 않고 절망하지 않고 계속 노력할 수 있었지 않았을까? 실패할 때마다 타조를 위로하고 결국 타조의 나는 기계에 끈을 매달아 타조를 달고 날아가는 친구들이 모두 감동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