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툰 감정
일자 샌드 지음, 김유미 옮김 / 다산지식하우스(다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감정의 동물이다.

사랑 때문에 죽고, 질투 때문에 죽고, 슬픔에 죽고………

그런데 이런 감정을 잘 모른다.

분노로 사람을 죽일 때까지도 자기가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말이다.

왜 감정의 동물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왜 이런 오류를 저지를까?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표현한다.

하지만 학습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나쁘다는 것을 경험한다.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억압된 사회 속에서 자라나기 때문에 종종 감정이 일정한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그 감정이 무엇인지 인식하지 못할 때가많다

결국 내가 그 때 왜 그랬을까? 하는 자책과 후회만이나를 괴롭히게 된다.

 

이제, 원인을 알았으니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알아보자.

감정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감정은 기본적인 감정과 혼합된 감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적인 감정인 행복’, ‘슬픔’, 불안/두려움’, ‘분노 이 네 가지 감정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그럼 이 감정들을 어떻게 알아챌 수 있을까?

감정은 움직임에 대한 충동 또는 욕망을 내포하고 있다.

자신의 동작에 집중하면 동작 이전에 숨어 있는 감정을 찾아낼 수 있다.

지금 내 몸이 어떤 동작을 하고 싶어 하는가?

 

감정은 당신이 아니다.”

감정을 자신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감정은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어떤 것으로 정의되어야 한다.

당신이 느끼는 특별한 감정과 당신을 분리하라.

감정이 최고로 강렬한 상태에서는 어떤 행동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강렬한 감정은 시야을 좁아지게 만들고 처음 그 감정을 일으켰던 것 이외에는 아무것도 보지 못하게 한다.

 

어떻게 하면 감정을 견제하는 법을 배울 수 있을까?

1~10까지 숫자를 센다.

친구에게 전화를 건다

좋아하는 음악을 틀고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춘다

간단한 더하기 빼기 목록을 만든다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는 일을 한다.

그런데 이 방법이 효과가 있을까?

머리로 생각하기 보다는 눈에 잘 띄는 곳에 붙여 놓고 인위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해보자.

느낀 감정을 말이나 몸으로 표현하지 말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생각해 보고

느끼는 감정을 솔직히 상대방에게 전하도록 노력해 보자.

내가 느낀 감정에 집중해 나와 좀 더 친해져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