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지컬 라이팅 - 맥킨지식 논리적 글쓰기의 기술
데루야 하나코 지음, 김윤경 옮김, 현창혁 감수 / 비즈니스북스 / 2019년 7월
평점 :
이 책은 로지컬 씽킹의 실천 편 격으로, 로지컬 씽킹이 논리적으로 생각을 체계화하는 기술을 다뤘다면 이 책은 이를 글쓰기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설명한 책이자 실전을 연습하는 워크북이라 하겠습니다. 이 책에는 로지컬 씽킹에서 배운 사고를 바탕으로 단순한 글쓰기를 넘어 자신의 생각을 상대에게 정확하고 쉽게 전달하는 전략의 핵심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책은 크게 ‘메시지의 구성’과 ‘메시지의 문장 표현’ 두 부분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사실 비즈니스 문서는 업무를 진행하기 위한 도구이기에 전달할 메시지를 명확하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고, 글로 표현한 내용만이 상대에게 전달되므로 내용을 정확하게 써야 한다고 합니다.
이처럼 글쓰기 커뮤니케이션에서는 무엇을 어떻게 전달한 것인지가 핵심인데, 이를 위해서 문서 작성자는 전달할 결론과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명료하게 연결되도록 내용을 구조화하고 간결한 문장으로 써야 합니다.
저자는 이를 위해 MECE, So What?, Why So? 등 세 가지 요소를 제시합니다. MECE는 들어가야 할 내용이 빠짐없이 다 들어갔는지, 내용 간에 서로 중복되는 부분은 없는지, 같은 종류의 내용들끼리 묶였는지를 검토하는 요소로 보고서의 수평적 관계를 구성하는 원칙입니다. So What?과 Why So?는 수직적 관계를 구성하는 원칙인데 작은 기호에서 그 위의 기호로 올라갈 때는 So What?(그래서?)의 관계가, 큰 기호에서 작은 기호로 내려올 때는 Why So?(왜 그렇지?)의 관계가 성립돼야 합니다.
이 책이 소개한 이러한 원칙을 잘 지키면 우리가 작성하는 문서에는 논리가 탄탄하게 갖춰줘서 더 이상 문서의 작성 문제로 고민하거나, 이로 인해 업무 능력마저 낮게 평가될까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저자는 강조합니다.
4차 산업혁명, 빅데이터 시대 개막 등 거센 변화의 물결 속에서도 커뮤니케이션의 위력과 문서의 중요성은 여전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생존을 위해 필수적으로 ‘로지컬 라이팅 기술’을 갖춰야 하는데, 이 책에서 설명하는 로지컬 라이팅은 타고난 재능이나 감각에 좌우되는 특별한 능력이 아니고 훈련을 거듭하면 누구든 습득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그 내용과 단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작성에 앞서 글쓰기의 주제와 이끌어내려는 기대반응 그리고 읽는 사람과 쓰는 사람이 누구인가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이 네 가지 요소가 얼마나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는가에 따라 문서 전체의 논리성과 전달력이 좌우되고, 주제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는 나침반의 역할을 합니다. 전달해야 할 핵심메시지의 근거가 되는 정보를 앞에서 본 MECE, So What?/Why So?를 통해 논리적으로 그루핑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각각의 정보가 중복, 누락, 착오가 없고 논리적으로 완결된 상태로 나뉘게 되어 읽는 사람이 핵심메시지를 오류 없이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또 전달할 핵심메시지가 명확한 경우 먼저 결론을 설정한 후 이에 어울리는 근거를 찾는 논리 패턴이 좋고, 반대로 핵심메시지가 불명확해서 어떤 내용으로 문서를 작성해야 할지 고민스러울 때는 먼저 근거를 설정한 후에 전달해야 할 결론을 도출하는 논리 패턴을 사용할 것을 조언합니다. 후자의 논리 패턴을 사용하면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메시지의 시각화나 명료한 언어 표현을 통해서 핵심메시지를 이해하기 쉽게 전합니다.
이 책에서 무엇보다 인상적인 것은 실전처럼 연습할 수 있는 집중 트레이닝 문제가 제공되어서 직접 자신이 배운 내용을 테스트해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이 책에 나오는 설명을 배운 다음에 연습을 통해 마스터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또 이 책은 실용서답게 철저하게 현실 사례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이론을 익힌 뒤에는 바람직한 사례와 잘못된 사례를 비교하고, 집중 트레이닝 문제를 풀면서 로지컬 라이팅을 한층 본인의 것으로 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